본문 바로가기
Hobby/Beekeeping

[스크랩] 벌치기 쓰임말 (양봉용어)

by 뉴질랜드고구마 2013. 11. 7.

양봉소상이나 양봉소상식토봉소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는 '(洋蜂)'으로 표시했으며 달리 표시하지 않은 항목은 됫박식벌통의 토종벌 위주로 기술했으므로 다른 벌통이나 양봉에서는 사실과 다를 수 있다

[색인]

1군2왕 1상2군 1상2왕 2군상 2회이충

가동소상 가름판 가리벌 가상 가시응애 각산란 간격법 간대 간살 간이내검 강군 개꿀 개량토봉소상 개별사양 개포 갯장 갱개왕대 갱신왕대 겨울나기 겨울나기창고 겨울나기포장 겨울먹이주기 격리판 격왕판 결혼비행 계상 계상깔깔이 고정소상 고정양봉 곰보봉판 공동급수장 공동사양 공봉 공소비 관찰구 광식사양기 교미상 구왕 구왕군 구왕봉군 군세 군세고르기 굴피벌통 귀개포 귀산란 귀소 규격1호벌통 규격2호벌통 규격벌통 균세 그루벌 급사 급수 급수장 급이 급조왕대 급조왕집 기르기 기문응애 기억비행 기화기 꼭지왕완 꽃가루 꽃가루떡 꽃가루뭉치 꽃가루받이 꽃가루빵 꽃가루장 꽃가루판 꽃꿀 꽃놀이 꽃찾기 꿀나는시기 꿀내리기 꿀덮개 꿀도둑질 꿀뜨기 꿀방 꿀벌 꿀벌기문응애 꿀벌응애 꿀벌의 응애 꿀소비 꿀장 꿀칼 꿀판 끌개

나들문 나들문가리개 나들문굴 나들문먹이통 나들문물통 나들문조절기 나들판 나무개포 낙봉 난동 날개돋이 낭상유충병 낭충병 낭충봉아부패병 낭충봉아부패병 극동아시아형 낭충봉아부패병 유럽형 낮놀이 내검 내검칼 내역벌 내역봉 내피 넘침벌 네가족벌통 노봉 노제마병 노제마세라니병 노지사양 노지월동 높임통 누리

다단사각벌통 단기채밀 단상 단상격왕법 단상벌통 단일밀원벌꿀 당액 대용화분 대유밀기 대추벌 덧집 덧집방지받침대 덧통 덮개 데마리식계상법 데마리식분봉방지법 도거 도둑벌 도망 도봉 동봉 동사 동양종꿀벌 동태온도 됫박 됫박식벌통 됫박식토종벌통 두가족벌통 둘왕 둘치 뒷벌 등검은말벌 땡비 떡벌

라식벌통 랑그스트로스벌통 랑스트로스벌통 랑식벌통 로열제리 로열제리뜨기

마비병 마킹 마킹스티커 마킹팬 막음판 만군 만든꽃가루 만상 맏배 말벌 말벌유인통 말벌포살기 매선기 매선대 먹이그릇 먹이장 먹이주기 먹이판 멍덕 면포 모듬꿀 목청 무밀기 무왕군 무화기 묵은왕 문지기벌 물꿀 물주기 물테이프 미국부저병 밀개 밀도 밀랍 밀려기 밀방 밀봉 밀여기 밀원 밀원수 밀원식물 밑판

바꿀왕집 바닥판 바로아응애 바이러스질병 밖일벌 밖포장 반고계상 반고상 받침대 받침돌 받침블록 밤꿀 밤나무꿀 방사채밀기 방서 방충복 방풍 방한 방화 백묵병 번데기 번데기소비 번데기장 번데기판 번식기 벌간격 벌공간 벌기르기 벌깨우기 벌꿀 벌꿀의 전화와 숙성 벌나기 벌내기 벌덮개 벌독 벌떨기 벌망 벌멍덕 벌무리 벌뭉치 벌받다 벌받이 벌방 벌방바닥 벌방벽 벌밭 벌붙은판 벌붙이기 벌사다리 벌사슬 벌사육 벌새기판 벌새끼 벌새끼구역 벌새끼방 벌세력 벌솔 벌쏠림 벌애벌레 벌유인통 벌주인 벌지기 벌집 벌집기초 벌집기초틀 벌집꿀 벌집늘리기 벌집더하기 벌집띄우개 벌집바탕 벌집바탕틀 벌집방향바꾸기 벌집벌레 벌집자리바꾸기 벌집줄이기 벌집집게 벌집짓기 벌집채 벌집틀 벌집틀띄우개 벌치기 벌침 벌터 벌털기 벌통 벌통대 벌통들개 벌통뚜껑 벌통우지 벌통지붕 벌통칸 벌통포장 벌판 벌합치기 벌합하기 변성왕대 변태 보온상자 보온판 복면포 본분봉 본통 본통군 봉강기 봉개 봉개깍이 봉개봉충 봉개봉판 봉교 봉교망 봉구 봉군 봉군세 봉독 봉밀 봉병 봉사 봉산물 봉상 봉세 봉솔 봉아 봉아권 봉아방 봉아질병 봉이 봉장 봉저 봉주 봉지사양 봉충 봉충소비 봉충판 봉침 봉판 부저병 부채벌 부채질 부화 분리계상 분리대두단백 분리판 분봉 분봉군 분봉망 분봉본통 분봉상자 분봉성 분봉열 분봉왕대 분봉차수 분봉철 비닐개포 비상왕대 비상왕집 빈벌집 빈틀

사군상 사봉 사양 사양기 사양수 사양액 산란 산란성일벌 산란소비 산란실 산란육아 산란육아권 산란육아실 산란육아주기 산란육아주기깨기 산란육아확장시기 산란판 산웅단위생식 산자단위생식 살림나기 살림난벌 살림날기운 살림날성질 살림내기 삼나무 삼이성 상단칸 상잔 상판 새끼기르기 새끼기르기벌 새끼기르기벌집 새끼기르기온도 새끼낳기 새끼벌 새왕 생청 서양종꿀벌 석고병 석벌 석청 석침 선풍 선풍벌 설벌 설사병 설통 성봉 성충벌 세간나기 세력 세장 소광 소광대 소랍도 소리다 소문 소문가리개 소문급수기 소문조절기 소문터널 소밀 소방 소분기 소비 소비고정강철 소비광 소비반전 소비잡기 소비전환 소비집게 소상 소초 소초광 소충 소형수벌 속살피기 속포장 손분봉 손자분봉 솔다 수동채밀기 수밀 수벌 수벌모임장소 수벌모임지역 수벌방 수벌번데기 수벌벌집 수벌벌집바탕 수벌소비 수분 수여리 수용 수직격왕판 수펄 수평격왕판 수평사양기 스기나무 스기목 스티로폼벌통 시구 시녀벌 시맥 신왕 신왕봉군 심대 심살 십매상 쌍왕군

아까시꿀 아랫대 아사 아카시아꿀 안일벌 안포장 앉히기 알 낳는 일벌 알까기 알낳기 알장 알판 애번데기 애벌레 애벌레기르기 애벌레벌집 애벌레옮기기 애벌레장 애벌레판 야생벌통 야생화꿀 야지월동 약군 약탈양봉 양봉 양봉가 양봉소상 양봉소상식토봉소상 양봉인 어린벌 어미여왕벌 얼굴쓰개 에어콤 여름나기 여름나기포장 여왕벌 여왕벌갱신 여왕벌교체 여왕벌넣기 여왕벌마킹 여왕벌물질 여왕벌바꾸기 여왕벌양성군 여왕벌유입 여왕벌유입롱 여왕벌페로몬 여왕봉 역봉 역사 연기뿜기 연기풍개 연당 연습비행 옆대 예비벌집 옛왕 온고계상 왕가두개 왕갈이 왕교체 왕기르개 왕대 왕대보호기 왕대분봉 왕대양성군 왕대이식 왕롱 왕막음판 왕먹이 왕알그릇 왕완 왕유 왕젖 왕젖뜨기 왕집 왕집옮기기 왕탱이 외검 외부포장 외역벌 외역봉 용화 우화 웅봉 웅봉소초 웅봉저 원봉군 원소상 원통 월동 월동사양 월동창고 월동포장 월하 월하포장 윗대 윗뚜껑 윗사양기 유기산 유기양봉 유럽부저병 유리 유모벌 유밀기 유밀기가상 유봉 유왕군 유인봉상 유잡화분 유지뱅이 유채화분 유충 유희비행 육아 육아권 육아방 육아벌 육아벌방 육아소비 육아실 육충 응애 이군상 이동강철 이동깔깔이 이동소문망 이동소문창 이동양봉 이충 이충침 이충틀 이충판 이회이충 익은 꿀 인공분봉 인공왕대 인공왕완 인공화분 일군이왕 일령 일벌 일벌방 일봉 일상이군 일상이왕

자극먹이 자극사양 자동사양기 자동채밀기 자란벌 자리바꾸기 자리벌 자분봉 자연분봉 자연왕대 자연화분 작은벌집딱정벌레 작은수벌 잡화꿀 잡화분 -장 장려사양 장수 장수말벌 재분봉 저밀 저밀방 저밀소비 전고계상 전기가온 전면소초 전사 전시 전용 전화 전화당 절량 정리채밀 정밀내검 정태온도 제1기분봉 제2기분봉 제리틀 조소 종봉 종이테이프 좌대 주력군 주령 주저리 죽은벌 줄왕완 중국가시응애 중낭병 중봉 중탱이 증소 진드기 짝짓기 짝짓기벌무리 짝짓기비행 짝짓기통

차기여왕벌 차기왕 착륙판 착봉 착봉소비 착봉판 참벌 창고월동 채밀 채밀기 채밀자격군 채분기 채유 채유광 채유술 처녀여왕벌 처녀왕 첫배 첫속살피기 청개다리 초검 축소 춘감현상 출방 측잔

칸막이 콩깻묵

탈바꿈 탈봉 탈봉기 탈봉장치 탈봉판 탈분 탈지대두박 탈지대두분말 태커 털보말벌 토봉 토봉개량소상 토종꿀 토종꿀벌 토종밀봉 토종벌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토종벌보호구역 토종벌통 통갈이 통걸기 통기 통나무벌통 통높임 통달기 통바꾸기 통수 통풍

파운드벌 -판 판돌 패키지벌 페트병 평면격왕판 평면사양기 폭밀 표류 풍밀 프로폴리스 프로폴리스망

하단칸 하이브툴 하잔 한가족두왕벌무리 한국밀봉 한봉 한봉보호구역 한지붕두가족벌무리 합동계상 합봉 합봉계상 합봉망 합봉판 핵군 핵군상 햇왕 헛계상 헛덧통 헛왕대 헛왕집 헛집 헛집방지받침대 헛집방지판 혹서기 혼인비행 홑통 화밀 화분 화분단 화분떡 화분매개 화분빵 화분소비 화분채집기 화분판 화용 화청 환기 환기구 환기구멍 환기창 환기통 환태식벌통 환태형벌통 환풍구 황말벌 회기 후계여왕벌 후계왕 훈연 훈연기 흉밀 희생군

Acarapis American foulbrood Apis cerana Apis mellifera chalkbrood Chinese Sacbrood European foulbrood Feral bee foulbrood package bee PET병 pound bee sacbrood stonebrood Thai Sacbrood tracheal mite tropilaelaps mite varroa mite


[용어해설]

1군2왕 : 일상이왕(一箱二王) 참고

1상2군 : 일상이군(一箱二群) 참고

1상2왕 : 일상이왕(一箱二王) 참고

2군상 : 이군상(二群箱) 참고

2회이충 : 이회이충(二回移蟲) 참고

가동소상(可動巢箱) : 벌집채 또는 벌집틀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는 벌통을 뜻하며 양봉의 표준벌통인 랑스트로스벌통이 이에 해당한다.

가름판,막음판,격리판(隔離板),분리판(分離板) : 벌집바탕틀·벌집틀 등이 있는 벌이 사는 공간 외에 남는 공간이 있는 경우 두 공간을 분리하려 막는 데 사용하는 판이다. 산란육아를 집중적으로 하는 벌집들과 그렇지 않은 벌집들 사이를 나누는 데도 사용한다. 빈틀과 비슷한 형식이지만 두께가 빈틀 보다 얇고 틀 안에 벌집이 아닌 합판이 있다. 가름판의 아래와 옆으로 벌들이 왕래할 수 있다. '분리판'을 '칸막이'의 뜻으로 사용하는 이도 있다. 참고:칸막이 (洋蜂)

가리벌 : 넘침벌 참고

가상(假箱),통높임,높임통 : 덧통과 동일한 형식인데 그 높이가 표준덧통 보다 상당히 낮아서 몇 센치미터에 불과하다. 가상을 설치하면 벌통바닥판에서 벌집틀 아랫대까지의 높이가 약간 높아져서 벌통안 공간이 넓어지므로 분봉열 없이 더 많은 벌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바닥판 일체형 홑통의 경우 빈 홑통 위에 가상을 올리고 기존 홑통의 벌과 벌집틀을 모두 옮겨담으면 되고 분리계상의 경우에는 기존 벌통의 바닥판 위에 가상을 넣으면 된다. 가상은 전술한 용도 외에 윗쪽에 빈 공간을 만들어 봉지사양을 용이하게 하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통높임은 행위고 높임통은 물건이다. 가상을 반고상이라고도 하는데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더 높은 반고상과의 혼동을 피해기 위해 이 용어해설에서는 둘은 서로 다른 것으로 보기로 한다. (洋蜂)

가시응애 : 중국가시응애 참고

각산란(角産卵) : 귀산란 참고

간격법(間隔法) : 평시에는 이웃한 벌집틀과 귀가 맞붙도록 벌집틀들을 밀착해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간격법이란 유밀기에 벌집틀 사이를 약간 벌려두어 꿀을 더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겨울나기 때 가운데 벌집틀 두 개 사이를 약간 벌려서 그곳에 벌들이 더욱 많이 뭉치도록 하여 겨울나기에 도움을 주는 방법 (洋蜂)

간대 : 세장 참고

간살 : 세장 참고

간이내검(簡易內檢) : 벌통문을 열어 거울을 넣고 관찰하는 게 보통이고 관찰 항목으로는 벌수,벌집모양,산란육아상태,왕대 등이 있는데 왕대와 산란육아상태는 간이내검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다. 양봉소상의 경우 뚜껑을 열고 벌집틀을 건드리지 않고 검사하거나 중앙의 벌집 한두 개를 검사한다.

강군(强群) : 정상적인 여왕벌 또는 왕대가 존재하고 세력이 강한 벌무리. 벌수가 많고 일을 열심히 많이 하는 벌무리를 뜻한다

: 벌집 참고

개꿀 : 벌집꿀 참고

개량토봉소상(改良土蜂巢箱) : 양봉소상식토봉소상

개별사양(個別飼糧) : 꽃가루당액 등을 벌통별로 따로 줌

개포(蓋布) : 덮개 참고

갯장 : 벌집 참고

갱개왕대(更改王臺) : 갱신왕대(更新王臺) 참고

갱신왕대(更新王臺),갱개왕대(更改王臺),바꿀왕집 : 여왕벌의 노쇠 등의 원인으로 벌들 스스로 여왕벌을 교체할 목적으로 짓는 왕대

겨울나기,월동(越冬) : 춥고 꽃도 없는 겨울에 외부활동과 산란육아 등을 멈추고 쉬면서 지내는 것. 꿀벌은 겨울잠을 자는 게 아니므로 '동면'이 아니다

겨울나기창고,월동창고(越冬倉庫) : 월동할 때 월동포장이 필요 없고 벌통을 그대로 가져다 넣어두면 되는 창고로서, 외부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단열재를 시공하고 환기장치를 설치·가동한다

겨울나기포장,월동포장(越冬包裝) : 추위와 비바람을 막고 벌통 내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줄여 벌무리가 안정적으로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단열재 등으로 벌통을 감싸주는 것

겨울먹이주기,월동사양(越冬飼糧) : 겨울나기에 필요한 먹이를 겨울이 되기 전에 공급함

격리판(隔離板) : 가름판 참고

격왕판(隔王板) : 왕막음판 참고

결혼비행(結婚飛行),혼인비행(婚姻飛行),짝짓기비행 : 처녀여왕벌수벌이 공중에서 교미하기 위해 나는 것을 말하는데 그 모습이 매우 격렬하다

계상(繼箱) : 덧통 참고

계상깔깔이 : 이동깔깔이 참고

고정소상(固定巢箱) : 벌집채벌통벽에 붙어있어서 개별 벌집채를 이동시키기 곤란한 벌통을 뜻하며 다단사각벌통,통나무벌통,굴피벌통벌집틀이 없는 벌통이 이에 해당한다.

고정양봉(固定養蜂) : 연중 벌통이나 벌터를 옮기지 않고 한 곳에서 벌을 기름

곰보봉판(--蜂板) : 산란육아권 안에서는 빈 벌방 없이 봉아들이 존재하고 연접한 벌방들에는 일령 차이가 거의 없는 봉아들이 존재하는 게 보통인데 질병,근친교배,저온피해 등 좋지 않은 이유로 봉아가 띄엄띄엄 존재하거나 연접한 벌방에 일령 차이가 많이 나는 봉아가 혼재하는 상태를 말함. 질병,근친교배,저온피해 등으로 중도에 봉아를 제거하고 다시 산란하는 경우나 여왕벌의 산란력이 부실하여 띄엄띄엄 산란하는 경우 그렇게 된다

공동급수장 : 급수장(給水場) 참고

공동사양(共同飼糧) : 꽃가루당액 등을 벌통별로 따로 주지 않고 벌통 밖 몇 군데에 주어 여러 벌통의 벌들이 와서 가져갈 수 있도록 함

공봉(工蜂) : 일벌 참고

공소비(空巢脾) : 빈벌집 참고

관찰구(觀察口) : 다단사각벌통받침대 앞면 전체에 해당하는 여닫을 수 있는 큰 문으로서 이 곳을 열고 관찰 등을 행한다

광식사양기(框式飼糧器) : 소광대와 같은 형식인데 윗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이 완전히 막혀있고 안은 비어있음. 그 안에 설탕물을 부어준다. 참고:사양기 (洋蜂)

교미상(交尾箱) : 짝짓기통 참고

구왕(舊王),묵은왕,옛왕 : 전년도 이전에 출생한 여왕벌

구왕군 : 구왕봉군(舊王蜂群) 참고

구왕봉군(舊王蜂群),구왕군 : 구왕이 있는 벌무리

군세(群勢) : 벌무리세력·기세·능력·힘

군세고르기(群勢---),균세(均勢) : 여럿 있는 벌무리 간에 세력의 차이가 적지 않을 때 평균적인 세력이 되도록 강한 벌무리에서 벌붙은판·번데기판 등을 꺼내서 약한 벌무리에 넣어주거나 약한 벌무리들을 합하는 것

굴피벌통 : 굴참나무나 굴피나무 등의 두꺼운 껍질을 째지지 않도록 잘 벗겨내서 동그랗게 말아 만드는데 안으로 쪼그라들거나 밖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다. 통나무벌통에 비해 만들기는 쉬우나 견고하지 않으며 얇고 틈이 많을 수 있다

: 빈틀의 양쪽 끝에서 안쪽으로 약 4㎝ 부분(벌집이 있는 사각 틀의 좌우 끝의 윗쪽) 앞뒤에 약 5㎜ 씩 돌출되어있는 것으로서 이웃한 벌집면이 맞붙지 않도록 하여 벌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洋蜂)

귀개포 : 개포의 모서리를 3센치미터 정도 접어주는 것을 말한다. 주로 환기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인데 그 목적과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고 해야지 무조건 하면 안 된다.

귀산란,각산란(角産卵) : 벌집틀산란육아권벌집의 가장자리까지 확대되어 사각형이 된 상태. 산란육아권은 타원형이 보통인데 계속 커지다 보면 벌집의 끝까지 확대되어 벌집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이 됨. 주어진 사각형 안에 들어가는 가장 큰 타원을 그리면 모서리는 타원영역이 아니다. 즉, 타원모양의 산란육아권이라면 비어있을 곳이 귀산란이라면 차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산란육아가 활발하고 많다는 뜻임. 직사각형 소비에 들어가는 가장 큰 타원의 면적은 해당 직사각형 면적의 78%다. (洋蜂)

귀소(歸巢) : 집으로 돌아가거나 집으로 돌아옴. 소(巢)는 둥지이고 결국 집을 뜻함. 사람으로 말하자면 귀가

규격1호벌통 : 토종벌통 내부의 가로x세로x높이가 19㎝x19㎝x9㎝, 부피가 3249㎤(3.249리터), 판두께가 2.5㎝인 정사각 벌통

규격2호벌통 : 토종벌통 내부의 가로x세로x높이가 20㎝x22㎝x7.4㎝, 부피가 3256㎤(3.256리터), 판두께가 2.5㎝인 직사각 벌통

규격벌통 : (사)한국토봉협회에서 정해놓은 규격의 벌통, 1호와 2호가 있음

균세(均勢) : 군세고르기(群勢---) 참고

그루벌 : '그루'의 사전적 의미인 '한 해에 같은 땅에 농사짓는 횟수를 세는 단위'에 따른다면 그루벌은 제자리에 있게 되는 분봉본통에서 다시 분봉이 나는 것 즉 분봉본통을 장악한 신왕왕대에 알을 낳아 후계여왕벌을 키우다가 분봉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렇게 정의하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혈통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전술한 그루벌을 손분봉이라 정의하고 살림나온 구왕봉군에서 살림이 나는 것을 그루벌이라 하는 이도 있다.

급사(給飼) : 먹이주기 참고

급수(給水) : 물주기 참고

급수장(給水場),공동급수장 : 벌터의 모든 벌통의 벌들이 물을 길어갈 수 있도록 벌터에 설치한 물공급 장소. 벌통수가 많은 경우 소문급수기로 개별 벌통에 일일이 물을 공급하려면 일손이 적지 않게 드는데 급수장을 설치하면 이러한 수고는 덜 수 있다. 물이 고이면 병균의 온상이 될 수 있으므로 조금씩 흐르도록 하거나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주어야 하며 벌이 익사할 수 있으므로 깔아둔 모래나 지푸라기 등이 물에 잠기면 안 되고 물에 떠있거나 물을 머금고 있는 정도로만 해야 한다. 즉, 자연의 물가에서 물 긷는 벌들을 보면 이끼, 풀, 바위 등에 묻은 물을 빨아가는데 그와 같이 하면 된다. 이른 봄철 물긷는 벌의 동사를 예방하기 위해 급수장 바닥에 열선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급이(給餌) : 먹이주기 참고

급조왕대(急造王臺) : 급조왕집 참고

급조왕집,비상왕집,급조왕대(急造王臺),비상왕대(非常),변성왕대(變性) : 일벌 애벌레가 든 벌방으로 만드는 왕대를 뜻한다. 봉아가 든 왕대가 없는 상황에서 여왕벌이 죽거나 사라지는 등 여왕벌의 통제권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 다음날부터 부화한지 3일 내의 일벌 애벌레가 들어있는 일벌방을 넓혀서 왕대를 만드는데 왕대를 만들기 시작한 지 13일 정도 지나면 그 곳에서 새 여왕벌이 출방한다. 애벌레 기간 내내 왕유를 먹으면 여왕벌이 되고 처음 3일 동안만 왕유를 먹으면 일벌이 되므로 3일 내의 일벌 애벌레(주로 1일령 일벌 애벌레)가 든 방을 넓히고 계속 왕유를 공급해주면 여왕벌이 된다

기르기,사양(飼養) : 벌을 기름. 벌을 사육함. 사양(飼養)을 위해서는 사양(飼糧)이 필요할 때도 있다

기문응애 : 꿀벌기문응애 참고

기억비행 : 낮놀이 참고

기화기(氣化器) : 꿀벌의 각종 응애를 구제하기 위해 개미산 등을 오랜 시간을 두고 서서히 기체상태로 만들어 살포하는 기기 (洋蜂)

꼭지왕완 : 이충틀의 가로대에 끼워넣기 위한 꼭지가 달린 인공왕완. 이러한 기능이 없으면 밀랍을 녹여서 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꽃가루,화분(花粉) : 꽃의 수술에 있는 꽃의 가루. 꿀벌은 수많은 꽃가루를 몸에 묻힌 다음 입으로 가져가 끈적하게 하여 뒷다리에 뭉쳐서 벌통으로 가져간다. 꿀벌에게 꽃가루는 주요 단백질원이다.

꽃가루떡,화분떡,대용화분(代用花粉),인공화분,만든꽃가루 : 꽃가루·콩가루(탈지대두분말) 등 단백질원과 당분 등의 원료물질을 잘 혼합·반죽하여 떡처럼 만든 것으로서 단백질 공급이 주 목적이다. 자연화분이 전혀 들어가지 않은 것을 대용화분이라 하는 이도 있다.

꽃가루뭉치,화분단(花粉團) : 꿀벌이 뒷다리에 뭉쳐서 달고 들어오는 덩어리 상태의 꽃가루

꽃가루받이,화분매개(花粉媒介),수분(受粉) : 꽃의 수술의 꽃가루를 암술머리에 옮겨붙이는 일. 벌을 포함한 곤충이 이꽃 저꽃 옮겨다니다 보면 몸에 꽃가루를 묻혀 옮김으로써 수분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꽃가루빵,화분빵 : 벌이 수집해온 꽃가루와 꿀을 섞은 다음 발효시켜 만든 것으로서 주로 애벌레의 먹이가 된다

꽃가루장 : 꽃가루판 참고

꽃가루판,꽃가루장,화분소비(花粉巢脾),화분판(花粉板) : 꽃가루가 든 벌방이 주로 있는 벌집 (洋蜂)

꽃꿀,화밀(花蜜) : 꽃의 꿀샘에서 분비하는 꿀. 꽃꿀은 40%~70% 정도를 차지하는 물을 제외하면 자당이 주성분이며 기타 당류와 비타민과 무기물 등 다양한 미량 성분들로 구성된다. 꿀벌에게 꽃꿀은 주요 탄수화물원이다.

꽃놀이,꽃찾기,방화(訪花) : 꽃에서 꿀·꽃가루 등을 수집함

꽃찾기 : 꽃놀이 참고

꿀나는시기 : 유밀기(流蜜期) 참고

꿀내리기 : 벌집 안의 꿀을 빼내는 행위. 보통은 중력을 이용해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꿀을 빼내는 데서 '내리기'라는 용어를 사용함. 토종벌통에서 잘라낸 벌집은 꿀을 뜨게 되면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지만 양봉소상이나 양봉소상식토봉소상의 벌집은 회전식채밀기에 넣고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꿀을 빼내므로 크게 손상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꿀덮개,밀개(蜜蓋) : 안에 꿀이 든 꿀방의 뚜껑을 닫음. 밀봉(蜜封)이라고도 함. 참고:봉개(封蓋)

꿀도둑질,도둑벌,도봉(盜蜂) : 다른 벌통의 꿀을 도둑질하거나 빼앗아가는 행위 또는 그러한 행위를 하는 벌

꿀뜨기,채밀(採蜜) : 됫박식벌통이나 통나무벌통에서는 벌꿀이 든 벌통칸이나 벌집을 잘라내는 행위를 뜻하고, 양봉소상에서는 벌집에 든 벌꿀을 채밀기로 빼내는 행위를 뜻한다.

꿀방,밀방(蜜房),저밀방(貯蜜房) : 벌꿀이 저장된 벌방

꿀벌,밀봉(蜜蜂),봉이 : 벌목 꿀벌과의 곤충으로서 수천 종이 있지만 꿀벌치기에 이용되는 꿀벌은 동양종꿀벌(Apis cerana)과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이며 인도최대종(Apis dorsata)과 인도최소종(Apis florea)은 야생에서 꿀을 모아두면 수확할 수 있다. '봉이'는 꿀벌의 애칭.

꿀벌기문응애,기문응애,tracheal mite,Acarapis : 성봉의 몸속 기문(氣門)에 기생하며 체액을 빨아먹고 기문을 망가뜨린다. 성봉에만 기생하여 증식하고 피해를 입힌다. 크기가 매우 작아서 맨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알에서 성충까지 17~19일이 걸린다. 지금까지 1종이 발견되었다. Acarapis woodi 참고: 바로아응애, 중국가시응애

꿀벌응애 : 바로아응애 참고

꿀벌의 응애,응애,진드기 : 꿀벌의 성체 또는 벌새끼에 붙어 체액을 빨아먹는 기생충들로서 각종 질병을 전염시키는 매개자 역할도 한다. 바로아응애, 중국가시응애, 꿀벌기문응애 등이 있다. 토종벌은 서로 응애를 잡아주므로 바로아응애의 피해는 없다. 진드기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꿀소비 : 꿀판 참고

꿀장 : 꿀판 참고

꿀칼,밀도(蜜刀) : 벌집에서 꿀을 빼내기 위해 꿀방의 뚜껑을 제거하거나 벌집을 부수는 데 사용한다

꿀판,꿀장,꿀소비,저밀소비(貯蜜巢脾) : 꿀이 든 벌방이 주로 있는 벌집 (洋蜂)

끌개,소랍도,하이브툴 : 소광대 등에 발라져 있는 봉교헛집을 긁어내거나 벌집틀이 다른 벌집틀이나 벌통에 접합되어있을 때 떼어내는 데 사용한다

나들문,소문(巢門) : 벌이 드나드는 출입구

나들문가리개,소문가리개 : 말벌 등 외적의 침입을 막거나 햇볕·비바람을 막을 목적으로 나들문 앞에 설치하는 나들문굴 등을 일컬는다

나들문굴(---窟),소문터널 : 외적의 침입을 막거나 벌통 안에 직사광선·비바람 등이 드는 것을 막을 목적으로 나들문 앞에 이어서 설치하는 낮고 긴 통로

나들문먹이통 : 나들문물통 참고

나들문물통,소문급수기(巢門給水器),나들문먹이통 : 나들문에 설치하여 벌에게 물이나 당액 등의 액체를 공급하는 기구. 참고:사양기

나들문조절기,소문조절기(巢門調節器) : 나들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나들판,착륙판(着陸板) : 벌통 나들문 앞쪽에 앞으로 돌출된 평탄한 판으로서 벌들은 주로 이 곳에서 이착륙한다

나무개포 : 사각틀 안에 합판이 있는 개포이며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는 게 보통이다. (洋蜂)

낙봉(落蜂) : 추위 등으로 기절한 벌. 또는 죽은 벌이나 벌의 죽음을 일컫는 경우도 있다

난동(暖冬;煖冬) :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

난동(亂動) : 우왕좌왕하는 등의 무질서한 행동

날개돋이 : 우화(羽化) 참고

낭상유충병(囊狀幼蟲病) : 낭충봉아부패병의 중국식 이름

낭충병(囊蟲病) : 낭충봉아부패병(囊蟲蜂兒腐敗病;囊狀幼蟲病) 참고

낭충봉아부패병(囊蟲蜂兒腐敗病;囊狀幼蟲病),낭충병(囊蟲病),sacbrood : 낭충봉아부패병은 RNA 바이러스 감염으로 애벌레애번데기가 물이 든 자루 모양을 하고 죽어 썩는 병이다. 낭충봉아부패병은 크게 유럽형,극동아시아형,남아공형으로 나뉘는데 유럽형은 토종벌에 발병하지 않고 극동아시아형은 토종벌과 서양종꿀벌에 발병한다. 서양종꿀벌은 낭충봉아부패병 유럽형과 극동아시아형 둘 모두 발병하고 토종벌은 극동아시아형이 발병한다. 국내에서는 2010년 9월까지만 해도 서양종꿀벌에는 낭충봉아부패병 극동아시아형의 발병 보고가 없었고 낭충봉아부패병이라 하면 유럽형을 의미했었다.

낭충봉아부패병 극동아시아형 : 극동아시아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서양종꿀벌에 일으키는 질병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 10월 처음으로 발병이 보고되었다. 토종벌에서와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다. 토종벌에서와는 달리 애벌레가 죽었음에도 빼내지 않는다. 참고: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낭충봉아부패병 유럽형,sacbrood : 유럽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감염으로 애벌레애번데기가 물이 든 자루 모양을 하고 죽어 썩는 병이다. 눈에 잘 띄는 증상으로는 벌통 안과 밖에 죽은 애벌레와 애번데기가 많이 떨어져 있고 이를 내다버리는 일벌들도 목격된다. 주발병시기는 육아부담이 큰 시기인 봄철 산란육아확장시기다. 낭충봉아부패병의 치료법으로는 병에 걸린 벌무리를 격리하고 산란육아벌집을 모두 폐기하여 산란육아주기를 깨면 전염원인 감염된 벌새끼가 없어지고 감염된 어린 벌은 조기에 밖일벌로 전환되어 감염력이 약해진다. 또한 약물투여와 소독을 주기적으로 하고 유밀기가 아니라면 유밀기처럼 행동하도록 당액꽃가루를 주면 청소행위가 활발해져서 죽은 벌새끼를 잘 내다버리고 호전된다.
참고문헌(Sacbrood)

낮놀이,유희비행(遊戱飛行),연습비행,기억비행 : 어린 벌들이 벌통자리를 익히며 나는 연습을 하는 것으로서 많은 벌들이 벌통 앞에서 벌통을 바라보며 난다.

내검(內檢) : 속살피기 참고

내검칼(內檢-) : 벌집틀에 덧붙은 벌집, 배부른 벌집, 수벌방 뚜껑, 수벌방 등등을 베어내는 데 사용한다. 봉교 등등을 긁어낼 수 있는 끌개가 덧붙어있는 경우도 있다. 끌개는 긁어내는 데 사용하고 내검칼은 베어내는 데 사용한다.

내역벌 : 안일벌 참고

내역봉(內役蜂) : 안일벌 참고

내피(內皮) : 덮개 참고

넘침벌,가리벌 : 가름판·먹이통 너머의 예비벌집에 붙어 있는 벌들인데 기온이 내려가면 안쪽 벌집으로 돌아가버리는 경향이 있다. 추운 시기에 벌이 조금 넘친다고 해서 벌집을 더 넣으면 늘어난 벌새끼를 충분히 돌볼 수 없어 낭패를 볼 수 있으므로 벌이 한 장 이상 충분히 넘친 다음 예비벌집을 가름판·먹이통 너머 안쪽으로 옮겨주어야 한다. '가리벌'의 '가리'는 국어사전에서는 합당한 의미를 찾을 수 없는데, '가짜' 또는 '임시'라는 뜻의 일본어 'かり'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洋蜂)

네가족벌통 : 사군상(四群箱) 참고

노봉(老蜂) : 늙은 벌

노제마병,노제마세라니병 : 곰팡이의 일종인 Nosema apis 또는 Nosema ceranae가 병원체이며 성봉에 영향을 미친다. 오염된 먹이,벌자재,배설물,먹이전달 등을 통해 전염되는 게 보통이다. 병원체는 포자형 또는 발육형으로 존재하는데 후미딜 등의 약제로 발육형만 죽일 수 있다. 두 질병의 치료방법은 같다. 기온이 낮은 시기에 비행飛行이 어려워 벌통 안에서 배설하게 되면 포자가 더욱 빠르게 번진다.

노제마세라니병 : 노제마병 참고

노지사양(露地飼糧) : 벌통 밖에 화분, 당액 등을 놓아두어 벌들이 가져가도록 하는 것

노지월동(露地越冬),야지월동(野地越冬) : 건물 밖에서 겨울나기

높임통 : 가상(假箱) 참고

누리 : 벌집벌레 참고

다단사각벌통(多段四角-桶) : 됫박식토종벌통이 사각형이고 층층이 쌓아올린다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

단기채밀(短期採蜜) : 꿀벌벌집에 저장한 꽃꿀은 꿀벌이 먹고 뱉어내기를 반복하고 꿀방을 옮겨가며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는 등 저장하기에 충분해지면 꿀벌이 꿀방을 바늘구멍 하나 없이 완전히 밀봉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기 전에 꿀을 뜨는 것을 단기채밀이라 한다.

단상(單箱) : 홑통 참고

단상격왕법(單箱隔王法) : 덧통을 올리지 않고 홑통수직격왕판을 설치하여 한쪽은 산란육아실로 사용하도록 하고 나머지 한쪽은 꿀저장실로 사용하도록 한다. (洋蜂)

단상벌통 : 홑통 참고

단일밀원벌꿀(單一蜜源--) : 꿀벌이 한 가지 밀원에서만 주로 수집한 벌꿀을 뜻한다. 국내에서는 유채꿀, 벚꿀, 자운영꿀, 산딸기꿀, 층층나무꿀, 아까시꿀, 때죽꿀, 감꿀, 밤꿀, 헛개꿀, 피나무꿀, 싸리꿀, 엄나무꿀, 메밀꿀 등 밀원식물 종류별로 모두 이름을 붙일 수는 있겠지만 아까시꿀과 밤꿀 외에는 전반적으로 밀원형성이 부족하거나 다른 밀원식물과 동시에 꽃이 피어 많이 섞이기 쉬운 편이다.

당액(糖液) : 넓은 의미로는 설탕물·꿀물 등 당분이 포함된 용액을 말하지만 벌치기에서는 설탕물을 의미하는 게 보통이다

대용화분(代用花粉) : 꽃가루떡 참고

대유밀기(大流蜜期) : 꿀이 많이 나는 꽃들이 많이 피는 시기. 보통은 아까시꽃이 필 때부터 밤꽃이 질 때까지를 일컫는다

대추벌,털보말벌,황말벌 : 장수말벌보다 작은 말벌로서 길이가 25밀리 내외다. 장수말벌은 닥치는대로 벌을 물어죽이지만 털보말벌은 벌을 한 마리 씩 잡아간다. 단백질원인 꿀벌과 꿀벌새끼를 잡아다 말벌새끼의 먹이로 준다. 털보말벌은 주로 노출된 곳에 구형의 집을 짓고 살며 나무구멍에 집을 짓는 경우 흙이나 부스러기가 없는 천정쪽에 짓는다. 참고:등검은말벌, 장수말벌

덧집 : 헛집 참고

덧집방지받침대 : 헛집방지받침대 참고

덧통,계상(繼箱) : 벌통칸을 층층이 쌓음. 또는 그렇게 쌓여 있는 벌통칸들 전체. 또는 그렇게 하여 나중에 추가되는 벌통칸. 행위로서의 계상은 됫박식토종벌통에서는 증소와 같은 뜻이지만 양봉소상에서는 기존 벌통 위에 계상벌통을 올려주는 것을 말한다. 양봉소상에서는 단상벌통과 계상벌통이 약간 다르다. 계상벌통에는 밑판나들문이 없다. 참고:홑통 (洋蜂)

덮개,개포(蓋布),내피(內皮) : 온습도 조절과 윗쪽으로의 활동공간 제한 등의 목적으로 벌통 뚜껑 아래 벌집 위를 덮는 천·합판·비닐 등을 개포라고 한다. 양봉소상이나 양봉소상식토봉소상에서 사용하는 게 보통이고 토종벌통에서는 상단에 환기통을 설치할 때 공기가 잘 통하는 재질의 개포로 덮은 후 그 위에 환기통을 설치한다

데마리식계상법 : 데마리식분봉방지법 참고

데마리식분봉방지법,데마리식계상법 : 분봉을 방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서 19세기에 George Demaree가 개발했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 핵심은 알·애벌레 벌집여왕벌을 한 벌통 안에서 덧통격왕판을 이용하여 서로 분리하면 인공분봉했다면 있었을 일벌 손실 없이 일벌이 분산되고 산란공간이 충분해지는 등 분봉한 것처럼 벌들이 느끼게 되어 분봉열이 식는다는 것이다. 알~번데기 소비가 8장 이상 되거나 왕대를 달기 시작할 즈음 즉 분봉열이 조만간 일어날 것이거나 아직은 약한 분봉열 상태일 때에, 1층에 있는 모든 소비를 꺼내 빈 덧통에 담은 후 1층에는 여왕벌과 봉개봉판 2장을 가운데에 놓고 공소비소초광 8장을 넣고 수평격왕판을 친 후 애초에 꿀받을 덧통이 올려져 있었다면 올린 후 그 위에 나머지 소비들이 담긴 덧통을 올린 후 빼낸 2장의 봉개봉판 대신 양가장자리에 공소비를 1장 씩 넣어둔다. 모든 소비의 모든 왕대를 완벽하게 제거하고 해야 한다. 1층이었던 벌통은 2층이 되고 2층이었던 벌통은 3층이 된다. 7~9일 후에 덧통의 모든 비상왕대를 제거한다. 이때 데마리식분봉방지법을 처음부터 한 번 더 시행한다(알·애벌레 소비 빼올리기부터 비상왕대 제거까지). 그렇게 하여 분봉열이 사라지면 데마리식분봉방지는 완료된 것이므로 적절히 덧통이나 소비를 정리한다. 주의할 것은 분봉성이 강한 여왕벌이거나 분봉열이 무르익었으면 효과가 없으므로 여왕벌을 바꾸거나 인공분봉을 해야 하며 강하지 않은 벌무리에 시행하면 육아가 부진하거나 질병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洋蜂)

도거(逃去) : 도망 참고

도둑벌 : 꿀도둑질 참고

도망,도거(逃去) : 살던 벌통이나 벌주인이 마련해준 벌통을 버리고 벌무리가 다른 곳으로 가버리는 행위

도봉(盜蜂) : 꿀도둑질 참고

동봉(童蜂) : 일벌 참고

동사(凍死) : 얼어죽음

동양종꿀벌(東洋種--),Apis cerana : 인도가 원산지인 꿀벌이며 현재는 아시아 전역에 분포한다. 학명은 Apis cerana이며 8개 정도의 아종(亞種)이 있다. 한봉(토종벌)은 동양종꿀벌의 한 아종이다. 동양종꿀벌은 모두 같은 종이며 서로 교잡이 가능하지만, 동양종꿀벌과 서양종꿀벌은 서로 종이 다르며 교잡이 되지 않는다. 동양종꿀벌과 서양종꿀벌 간의 구별은 뒷날개의 중앙맥으로 하는데 동양종꿀벌은 중앙맥의 연장맥이 있지만 서양종꿀벌에는 없다.

동태온도(動態溫度),새끼기르기온도,정태온도(靜態溫度) : 동태온도는 꿀벌산란육아할 때 필요한 봉구속의 온도로서 32℃ 내지 35℃. 정태온도는 꿀벌이 산란육아를 하지 않을 때 봉구속의 온도로서 약 21℃.

됫박 : 됫박식벌통 참고

됫박식벌통,됫박식토종벌통,됫박 : 토종벌의 사각형 벌통칸이 모양이나 크기 면에서 되와 비슷하다 하여 붙인 이름

됫박식토종벌통 : 됫박식벌통 참고

두가족벌통 : 이군상(二群箱) 참고

둘왕,둘치 : 수정란(유정란)을 낳지 못하는 여왕벌. 교미를 못했거나 불완전 교미 등으로 알을 낳지 못하거나 미수정란(무정란)만 낳는 여왕벌을 말한다

둘치 : 둘왕 참고

뒷벌 : 이동양봉할 때 원래 벌터에 남겨놓은 벌무리. 세력이 약해서 채밀자격군이 못되는 벌무리를 남겨놓는 게 보통이다.

등검은말벌 : 크기는 털보말벌 보다 약간 작은 20밀리 정도이며 21세기 초에 국외에서 유입된 종이다. 꿀벌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참고:장수말벌,털보말벌

땡비 : '땅벌'을 뜻하는 사투리

떡벌 : 벌집에 벌이 겹겹이 매우 많이 붙어서 벌방이 보이지 않고 나아가 주렁주렁한 상태

라식벌통,랑식벌통,랑스트로스벌통,랑그스트로스벌통 : 양봉(洋蜂)의 표준벌통으로서 1851년에 랑스트로스가 개발. 벌통안의 벌집틀이 벌통에 고정되어있지 않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소상(可動巢箱)이다. 정식명칭은 랑스트로스벌통.

랑그스트로스벌통 : 라식벌통 참고

랑스트로스벌통 : 라식벌통 참고

랑식벌통 : 라식벌통 참고

로열제리 : 왕젖 참고

로열제리뜨기 : 왕젖뜨기 참고

마비병(痲痹病) : 바이러스 등에 의해 성충의 몸이 마비되는 병

마킹,여왕벌마킹,마킹팬,마킹스티커 : 여왕벌 마킹이란 짝짓기를 마친 여왕벌의 등에 눈에 잘 띄는 색을 칠하거나 스티커를 붙이는 것을 말한다. 속살피기 등을 할 때 여왕벌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여왕벌의 출생년도나 개체간의 식별을 위해 색을 달리하거나 번호를 매길 수 있다. 마킹스티커의 경우 년도별로 색상을 달리할 수 있고 여왕벌들 간의 식별을 위한 번호가 인쇄되어 있다.

마킹스티커 : 마킹 참고

마킹팬 : 마킹 참고

막음판 : 가름판 참고

만군(滿群) : 모든 벌통만상인 상태. 벌이 매우 잘 됐다는 의미로 쓰이는 게 보통이다

만든꽃가루 : 꽃가루떡 참고

만상(滿箱) : 벌통속에 벌이 가득 참. 양봉소상에는 벌집이 보통 10매 들어가는데 벌방이 보이지 않을 정도인 3천 내지 4천 마리의 벌이 각 벌집에 붙어 있고 산란육아량이 매우 많은 상태를 만상이라 한다. 한편, 산란육아권의 대소에 관계 없이 벌통속에 벌집이 다 차 있고 벌통속에 벌이 매우 많은 상태도 만상이라 한다.

맏배 : 첫배 참고

말벌 : 벌목 말벌과에 속하는 곤충들. 어떤 동물이든 몸은 단백질이 주성분이므로 몸을 유지하고 새끼를 키우기 위해서 단백질이 필요하다. 단백질 조달원은 꿀벌꽃가루이고 말벌은 곤충이다. 국내에서 꿀벌에 피해를 주는 말벌은 주로 장수말벌,털보말벌,등검은말벌이다.

말벌유인통 : 말벌포살기(--捕殺器) 참고

말벌포살기(--捕殺器),말벌유인통 : 말벌을 유인하여 잡기 위한 통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액 등의 유인물질을 넣어두는데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매선기(埋線器) : 소광대소초를 붙일 때는 소광대에 매어진 금속선에 소초를 약간 녹여서 붙이는데 이 때 사용하는 기구 (洋蜂)

매선대(埋線坮) : 편편한 받침대인데 이 위에 소광대를 놓고 소초를 붙인다 (洋蜂)

먹이그릇,사양기(飼糧器) : 물·당액 등의 먹이를 담아주는 그릇. 참고:광식사양기,자동사양기,윗사양기,나들문먹이통

먹이장,먹이판 : 먹이장이라면 벌의 먹이(꿀,꽃가루)가 저장된 벌집이지만 꿀판을 일컫는 게 보통이다. 꽃꿀당액을 구별하기 위해 당액이 저장된 벌집을 먹이장이라 하기도 한다.

먹이주기,급이(給餌),급사(給飼),사양(飼糧) : 당액·꽃가루 등 벌의 먹이를 줌

먹이판 : 먹이장 참고

멍덕,벌멍덕,벌받이,유인봉상 : 벌멍덕은 벌통 위를 덮는 재래식 뚜껑으로서 짚으로 틀어서 바가지 비슷하게 만든다. 한편, 벌통이나 합판 등에 멍석이나 굴참나무껍질 등을 붙여서 만든 것으로서 벌터의 나뭇가지 등에 설치하여 분봉군이 붙도록 유인하는 데 사용하는 것도 벌멍덕(벌받이,유인봉상)이라 한다

면포(面布) : 얼굴쓰개 참고

모듬꿀 : 야생화꿀 참고

목청(木淸) : 벌무리가 나무속에 저장한 꿀. 인간이 관리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벌무리가 나무속에 저장한 꿀을 일컫는 게 보통이다

무밀기(無蜜期) : 꿀이 나는 꽃이 없거나 그 수량이 아주 적은 시기

무왕군(無王群) : 현재 여왕벌이 없고 가만 두면 앞으로도 여왕벌이 없게 될 운명인 벌무리

무화기(無花期) : 꽃이 없는 시기

묵은왕 : 구왕(舊王) 참고

문지기벌 : 벌통나들문 주위에서 침입하는 외적을 막는 일벌

물꿀 : 수분이 많아 묽은 꿀

물주기,급수(給水) : 물을 공급함

물테이프 : 종이테이프 참고

미국부저병(美國腐蛆病),American foulbrood(AFB) : 미국부저병 세균에 감염된 봉아는 패혈증으로 죽는다. 이 세균의 내생포자는 열, 소독약, 건조 등에 강한 내성을 지니며 수십년 동안 감염력을 유지한다. 이 질병은 전염력이 매우 강하고 잘 근절되지 않으며 벌무리가 쉽게 망하는 질병이므로 발병시에는 관련된 모든 것을 소각하는 게 효과적인 해결책이다. 오염된 꿀,화분,벌집,벌,벌기구 등을 미감염 벌통에 넣으면 전염되며 도봉벌쏠림 그리고 벌지기를 통해서도 전파된다. 예방이 최선책이다. 감염된 봉아는 봉개 후 죽는데 애벌레 단계의 마지막 2일(애번데기)과 번데기 단계의 첫 2일 사이에 죽는다. 증상으로는 곰보봉판이 되고 봉아가 썩어문들어져서 벌방바닥에 주저앉아 있으며 벌방뚜껑은 움푹들어가고 구멍이 뚫려있거나 제거되어 있고 어두운 색으로 변하는 게 보통이다. 사체는 유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최종적으로 검은색 비늘로 마르는데 몸 전체가 동일한 색으로 변하며 곤죽이 된 후에는 벌들이 제거할 수 없다. 마르기 전의 사체는 걸죽한데 이쑤시개로 찍어내보면 2~3㎝ 늘어난다. 이러한 증상들과 더불어 사체를 우유에 넣고 흔든 다음 몇 분 지나면 굳는 특징이 있기는 하지만 확진은 실험실에서만 가능하다. 참고:유럽부저병

밀개(蜜蓋) : 꿀덮개 참고

밀도(蜜刀) : 꿀칼 참고

밀랍(蜜蠟) : 꿀벌벌집을 짓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 지역에 따라서는 밀(蜜)이라고도 함.

밀려기 : 밀여기(蜜濾器) 참고

밀방(蜜房) : 꿀방 참고

밀봉(蜜蜂) : 꿀벌 참고

밀여기(蜜濾器),밀려기 : 내린 꿀에 혼입된 밀랍 등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구

밀원(蜜源),밀원수(蜜源樹),밀원식물 : 밀원은 꿀의 원천을, 밀원수는 꿀이 나는 나무를, 밀원식물은 꿀이 나는 식물을 뜻함. 감로꿀을 제외하고는 모두 나무나 풀 등 식물의 꽃에서 꿀이 난다. 벌꿀꿀벌이 자연에서 채집한 다양한 물질들의 혼합물이며 그 원천은 주로 식물이기는 하지만 식물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밀원수(蜜源樹) : 밀원(蜜源) 참고

밀원식물 : 밀원(蜜源) 참고

밑판,바닥판 : 벌통 받침대의 바닥을 이루는 판. 받침대가 없는 벌통의 경우는 벌통의 바닥을 이루는 판.

바꿀왕집 : 갱신왕대(更新王臺) 참고

바닥판 : 밑판 참고

바로아응애,꿀벌응애,varroa mite : 꿀벌의 성충과 벌새끼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어 막대한 피해를 주는 기생충이다. 꿀벌에 기생하는 응애들 중 체구가 큰 편에 속한다. 알에서 성충까지 7~8일이 걸리며 성충은 번식기에 약 1개월 비번식기에는 수개월 생존한다. 토종벌에는 피해를 주지 못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아응애는 다음과 같은 6종이 있다. Varroa jacobsoni, Varroa destructor, Varroa rindereri, Varroa underwoodi, Varroa sinhai, Varroa wongsirii 참고: 중국가시응애, 꿀벌기문응애

바이러스질병 :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들이며 벌들의 활동에 의해서는 꽃가루, 응애, 벌쏠림, 도봉을 통해 전염되며 관리자에 의해서는 벌기구, 합봉, 다른 벌통으로의 벌집 옮기기 등으로 전염된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바이러스들이 꿀벌에 질병을 일으킨다. 낭충봉아부패병바이러스, 검은왕대바이러스, 급성꿀벌마비바이러스, 만성꿀벌마비바이러스, 날개기형바이러스, 번데기죽음바이러스, 불투명날개바이러스, 사상바이러스, 아칸사스꿀벌바이러스, 엑스바이러스, 와이바이러스, 이집트꿀벌바이러스, 이스라엘급성마비바이러스, 카시미르꿀벌바이러스, 무지개바이러스

밖일벌,외역봉(外役蜂),역봉,외역벌 : 벌통밖으로 나가서 꿀·꽃가루·물·봉교 등 필요한 것들을 수집해 오는 일벌

밖포장,외부포장(外部包裝) : 겨울나기 포장할 때 벌통 바깥벽을 빙 둘러서 단열재를 설치하고 비가림을 함

반고계상(半高繼箱) : 반고상(半高箱) 참고

반고상(半高箱),반고계상(半高繼箱) : 덧통인데 그 높이가 표준덧통 보다 낮으며 다양한 높이의 반고상이 가능하다. 표준덧통, 반고상. 가상은 모두 동일한 형식이지만 높이에 차이가 있다. 가상은 바닥판으로부터 벌집틀 아랫대까지의 높이를 약간 높이는 데 사용하지만 반고상은 덧통으로 설치하여 일반 벌집틀보다 높이가 낮은 벌집틀을 넣어 사용한다. 표준덧통은 전고계상이라고도 한다 (洋蜂)

받침대,좌대(座臺),벌통대 : 그 위에 벌통을 놓는데 전면에는 관찰구가 있다. 형식에 따라 바닥에 환기를 위한 망과 밑판이 있는 것이 있고 밑판만 있는 것이 있다

받침돌,판돌 : 블록·돌 등 위가 편편하고 묵직한 것으로서 땅바닥 위에 놓고 그 위에 벌통 받침대를 놓는 물건

받침블록 : 받침돌로 사용되는 블록

밤꿀,밤나무꿀 : 꿀벌이 밤나무꽃에서 수집한 벌꿀을 뜻한다.

밤나무꿀 : 밤꿀 참고

방사채밀기(放射採蜜器) : 채밀기(採蜜器) 참고

방서(防暑) : 더위를 막음

방충복(防蟲服) : 일반 옷은 꿀벌이나 말벌이 옷 위에서 쏘아도 피부에 쏘이기도 하고 옷소매·옷깃 등으로 들어와 쏘기도 하는데 방충복은 그러하지 못하도록 만든 옷이다.

방풍(防風) : 바람을 막음

방한(防寒) : 추위를 막음

방화(訪花) : 꽃놀이 참고

백묵병(白墨病),chalkbrood : 곰팡이의 일종인 백묵병균에 의해 꿀벌애벌레에 발생하는 질병. 육아환경이 열악하고 육아부담이 큰 시기에 충분히 보살핌을 받지 못한 변두리 벌집에서 발생하기 쉽다. 발병한 애벌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딱딱하게 미이라화 되는데 석고병에 비하면 쉽게 부서진다. 여왕벌을 교체하거나 벌을 밀착시키고 당액사양하면 청소 행위가 활발해져 호전되기도 한다. 꿀벌의 대부분의 질병이 그렇듯이 벌통간의 전염은 도봉,벌쏠림,벌합하기,꽃,벌자재,관리자 등으로 일어난다. 참고:석고병

번데기 : 완전변태 곤충의 애벌레 또는 애번데기(전용) 다음 단계로서 벌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여 출방 전에 완전한 벌이 된다

번데기소비 : 번데기판 참고

번데기장 : 번데기판 참고

번데기판,번데기장,번데기소비 : 번데기가 든 벌방이 주로 있는 벌집 (洋蜂)

번식기(繁殖期) : 꿀벌벌새끼를 기르는 시기.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월부터 10월까지가 국내에서 꿀벌의 번식기다. 분봉철과는 다른 개념이다.

: '벌'이라면 모든 종류의 벌을 일컫는 말이지만 꿀벌치기에서는 문맥상 달리 해석할 여지가 없다면 '꿀벌'을 일컫는 말이며 문맥에 따라 '벌무리'를 뜻하기도 한다

벌간격,벌공간 : 꿀벌벌집을 비롯한 벌통 내에 있는 물체들 간의 거리가 어느 한도 이내이면 밀랍이나 프로폴리스로 이어붙이고 또 다른 한도를 넘으면 그 공간에 벌집을 짓는 경향이 있다. 서양종꿀벌의 경우 간격이 6.35밀리미터(1/4인치) 이내이면 이어붙이고 9.53밀리미터(3/8인치) 이상이면 그 안에 벌집을 짓는 경향이 있다. 먹이를 비롯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그렇게 한다. 벌통을 설계하거나 조작할 때는 이 간격을 감안해야 한다.

벌공간 : 벌간격 참고

벌기르기 : 벌치기 참고

벌깨우기 : 이른 봄철 겨울을 나고 있는 벌을 겨울나기를 끝내고 산란육아를 하도록 유도함

벌꿀,봉밀(蜂蜜),청(淸) : 꿀벌이 식물 등으로부터 꽃꿀,감로,기타물질을 수집해와 벌집에 저장한 것으로서 식품공전의 벌꿀의 정의에 부합한 것을 말한다.

벌꿀의 전화와 숙성(轉化 熟成),익은 꿀,전화(轉化),전화당(轉化糖) : 꿀벌이 수집해온 꽃꿀은 수분을 제외하면 자당(설탕)이 대부분인데 이 것이 꿀벌이 분비하는 전화효소의 작용으로 단당류인 과당과 포도당으로 가수분해되는 현상을 전화라 하고 그렇게 하여 만들어진 단당류를 전화당(轉化糖)이라 한다. 벌꿀에는 이 전화당이 60% 이상이다. 이와 더불어 물이 적절히 증발되어 저장성이 높아지는 현상을 숙성이라 한다. 벌꿀에는 당분 외에 여러가지 미량성분들이 있는데 이 성분들까지 숙성이 더욱 진행되어 벌꿀 내부의 물리화학 반응이 거의 멈춘 상태의 벌꿀을 익은 꿀이라 한다

벌나기 : 살림나기 참고

벌내기 : 살림나기 참고

벌덮개,봉개(蜂蓋) : 안에 벌의 애벌레번데기가 들어있는 벌방의 뚜껑을 닫음. 참고:봉개(封蓋)

벌독,봉독(蜂毒) : 벌의 독

벌떨기,벌털기,탈봉(脫蜂),탈봉판,탈봉기,탈봉장치 : 탈봉이란 벌을 벌집에서 제거하는 것이다. 덧통의 꿀을 뜨기 전에 1층과 2층 사이에 설치하여 1층으로 내려갈 수는 있어도 2층으로 올라가지는 못하게 하는 탈봉판이 있고, 낮에 벌통을 이동해야 할 때 안에 있는 벌은 밖으로 못나가게 하고 밖에 나가 있는 벌은 들어올 수 있도록 벌통 입구에 설치하는 탈봉기가 있다. 한편, 벌붙은판에 진동을 주어 벌을 털어내거나 자동으로 회전하는 벌솔로 벌을 털어내는 기구도 탈봉기라고 한다.

벌망 : 벌을 가두기 위한 망으로서 주로 모기장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한다

벌멍덕 : 멍덕 참고

벌무리,봉군(蜂群) : 수많은 벌들로 구성된 독립 생활 단위로서의 벌들의 집합체. 세는 단위는 '군'인데 벌통속에서 살고 있는 경우 '통'으로 세기도 한다

벌뭉치,봉구(蜂球) : 수많은 벌들이 공 모양으로 뭉쳐있는 것

벌받다 : 분봉이나 도망의 목적으로 벌통밖으로 나온 벌무리를 잡다

벌받이 : 벌터의 나뭇가지 등에 설치하여 분봉군이 붙도록 유인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벌통이나 합판 등에 멍석이나 굴참나무껍질 등을 붙여서 만든 것 등 다양한 형식이 있다. 참고:유인봉상

벌방,소방(巢房) : 밀랍으로 만들어진 속이 빈 정육각기둥 모양의 방. 산란육아 또는 꽃가루·벌꿀 저장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벌방바닥,벌방벽 : 벌방 입구가 아래위로 위치하도록 벌집을 눕혀놓고 보았을 때 벌방 안의 바닥. 벌방바닥은 마름모 3개가 아래로 꺼진 상태로 맞물려 있으므로 수평이 아니다. 벌방바닥을 사이에 두고 앞뒤로 벌방이 있는데 앞벌방은 뒷벌방 3개와 마름모 1개 씩을 공유한다. 벌집이 벌통안에 있을 때는 벌집이 세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벌방바닥이 아래에 있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아래에 있는 것은 벌방벽(아랫벽)이다. 벌집바탕에는 벌방벽은 없고 벌방바닥만 있으며 이를 벌통에 넣어주면 일벌들이 벌방벽을 짓는다.

벌방벽 : 벌방바닥 참고

벌밭 : 벌터 참고

벌붙은판,벌판,착봉소비(着蜂巢脾),착봉판(着蜂板) : 벌이 붙어 있는 벌집

벌붙이기,착봉(着蜂) : 벌집에 벌을 붙임 또는 벌집에 벌이 붙어 있는 상태

벌사다리,벌사슬 : 벌들이 발로 서로를 잡고 길게 늘어서 있는 모양

벌사슬 : 벌사다리 참고

벌사육 : 벌치기 참고

벌새기판 : 새끼기르기벌집 참고

벌새끼,봉아(蜂兒) : 벌의 알·애벌레·애번데기(전용)·번데기를 총칭하는 용어

벌새끼구역,봉아권(蜂兒圈) : 벌새끼방이 집중되어 있는 구역

벌새끼방,봉아방(蜂兒房),육아방(育兒房),육아벌방 : 벌새끼가 들어있는 벌방

벌세력 : 세력(勢力) 참고

벌솔,봉솔 : 벌통·벌집 등에 붙어있는 벌을 쓸어내기 위한 솔

벌쏠림,표류(漂流) : 벌통들이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 벌들이 주위의 다른 벌무리로 들어가 사는 현상

벌애벌레,봉충(蜂蟲),봉저(蜂蛆) : 벌의 애벌레. 참고:봉충(封蟲)

벌유인통 : 설통 참고

벌주인 : 벌지기 참고

벌지기,벌주인,봉주(蜂主),양봉가(養蜂家),양봉인(養蜂人) : 벌의 주인 또는 벌을 기르는 사람

벌집,벌집채,소비(巢脾),,,갯장 : 벌방의 여섯개의 각 변에 또 다른 벌방들이 연접해서 붙어있는 모양을 계속 확장하여 만들어진 벌방들의 집합체. 세는 단위는 '장' 또는 '매'. 벌집에는 앞뒤 양쪽에 벌방이 있는데 이 양쪽 각각을 '면'이라 한다. 한편, 벌통이 아닌 나무·바위·땅속 등에 집을 짓고 사는 경우 벌방들의 집합체로서의 벌집을 포함한 벌이 사는 공간을 벌집이라 하기도 한다

벌집기초,벌집바탕,소초(巢礎) : 밀랍 등으로 인공으로 만든 사각형의 얇은 판으로서 벌방의 바닥모양이 올록볼록 찍혀있다. 그 위에 벌집을 짓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다 (洋蜂)

벌집기초틀,벌집바탕틀,소초광(巢礎框) : '벌집기초(소초)+빈틀(소광)'. 빈틀(소광)에 벌집기초(소초)가 부착된 결과물 (洋蜂)

벌집꿀,소밀(巢蜜),개꿀 : 벌집채에는 많은 꿀방이 있고 그 꿀방 안에는 꿀이 들어 있는데 그 상태대로 채취한 것으로서 꿀을 빼내지 않은 것을 말한다

벌집늘리기 : 벌집더하기 참고

벌집더하기,벌집늘리기,증소(增巢) : 벌무리의 사는 공간을 넓혀주기 위해 벌집·벌통칸 등을 추가해줌. 됫박토종벌통에서는 벌통칸을 추가해주고 양봉소상에서는 소광·소초광·벌집틀을 추가해준다

벌집띄우개,벌집틀띄우개 : 벌집틀에 끼워서 벌집틀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서 유지시키는 데 사용하는 기구. 덧통에 꿀을 받을 때 벌집틀수를 줄이는 대신 각 벌집틀에 더 많은 꿀을 저장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다 (洋蜂)

벌집바탕 : 벌집기초 참고

벌집바탕틀 : 벌집기초틀 참고

벌집방향바꾸기,소비반전(巢脾反轉) : 벌집의 자리는 바꾸지 않고 벌집의 앞뒷면이 맞바뀌도록 방향만 바꿈. 고르게 산란육아가 진행되도록 유도하기 위함. 참고:벌집자리바꾸기 (洋蜂)

벌집벌레,소충(巢蟲),누리,유리 : 꿀벌부채명나방의 애벌레. 벌집·벌통벽을 뚫거나 거미줄 같은 줄을 치는 등 벌무리에 피해를 준다. '누리'와 '유리'는 벌집벌레의 방언.

벌집자리바꾸기,소비전환(巢脾轉換) : 벌집의 앞뒷면 방향은 그대로 두고 벌집의 자리만 바꿈. 고르게 산란육아가 진행되도록 유도하기 위함. 참고:벌집방향바꾸기 (洋蜂)

벌집줄이기,축소(縮巢;縮小) : 벌집을 빼내거나 벌통 칸수를 줄이거나 하여 벌이 사는 공간을 줄여 벌의 밀집도를 높임

벌집집게 : 소비집게 참고

벌집짓기,조소(造巢) : 벌집을 지음

벌집채 : 벌집 참고

벌집틀,소비광(巢脾框) : '벌집(소비)+빈틀(소광)'. 빈틀이나 벌집기초틀에 벌집이 지어진 결과물 (洋蜂)

벌집틀띄우개 : 벌집띄우개 참고

벌치기,벌기르기,벌사육,양봉(養蜂) : 벌을 기름. 벌을 사육. 참고:양봉(洋蜂)

벌침,봉침(蜂針) : 벌의 침. 또는 벌의 독이나 침을 사용한 침술. 꿀벌 일벌의 침에는 미세한 미늘들이 있어서 쏘면 침과 함께 장기가 일벌의 몸에서 빠져나가 결국 일벌이 죽고 말지만 여왕벌의 침은 밋밋해서 쏜 다음 몸을 상하지 않고 침을 빼내 계속 쏠 수 있다

벌터,벌밭,봉장(蜂場) : 벌을 치는 장소

벌털기 : 벌떨기 참고

벌통(-桶) : 벌무리산란육아를 하고 꿀과 화분 등을 저장하는 등 생활하는 공간으로서 사람이 만들어준 통 모양의 꿀벌의 주거공간을 벌통이라 함. 한편, 벌통 한 칸 한 칸도 벌통이라고 하고 이 것들을 층층이 쌓아두어 그 속에서 벌무리가 사는 것도 벌통이라고 하는데 구분을 위해 전자를 벌통칸이라고 함. 문맥에 따라 벌무리를 일컫는 용어이기도 하다

벌통대 : 받침대 참고

벌통들개 : 토종벌통에서는 빈 벌통을 아래에 추가해주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기존 벌통을 들어올려야 한다. 이와 같이 벌통을 들어올리는 기기를 '벌통들개'라 한다

벌통뚜껑,벌통지붕 : 벌통의 뚜껑. 단면 크기 면에서는 벌통과 같은 것과 큰 것이 있으며 입체형태 면에서는 평평한 것과 솟아오른 것이 있다.

벌통우지 : 주저리 참고

벌통지붕 : 벌통뚜껑 참고

벌통칸 : 벌통 한 칸 한 칸도 벌통이라고 하고 이 것들을 층층이 쌓아두어 그 속에서 벌무리가 사는 것도 벌통이라고 하는데 구분을 위해 전자를 벌통칸이라고 함

벌통포장(-桶包裝) : 비바람, 햇볕, 추위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벌통을 사료포대, 보온덮개 등으로 감쌈. 참고: 월동포장, 월하포장

벌판 : 벌붙은판 참고

벌합치기 : 벌합하기 참고

벌합하기,벌합치기,합봉(合蜂) : 두 개 이상의 벌무리를 하나의 벌무리로 합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왕벌이 있는 벌무리에 여왕벌이 없는 벌무리를 합하는 게 보통이다. 이때 여왕벌이 있는 벌무리를 합봉군이라 하고 여왕벌이 없는 벌무리를 피합봉군이라 한다. 모두 여왕벌이 있는 경우에는 벌통이나 자리가 유지되는 봉군을 합봉군이라 하고 벌통과 자리를 포기해야 하는 봉군을 피합봉군이라 한다. 이러한 것으로도 구분이 되지 않을 때는 보다 강한 봉군을 합봉군이라 한다.

변성왕대(變性) : 급조왕집 참고

변태(變態),탈바꿈 : 꿀벌은 완전변태 곤충으로서 알·애벌레·애번데기·번데기·성봉의 과정을 거친다.

보온상자(保溫箱子) : 양봉소상이나 양봉소상식토봉소상에서 겨울나기와 봄벌키울 때 단열(보온)을 위한 내부포장을 위해 벌통 크기에 맞게 미리 제작된 골판지 등의 상자인데 이 보온상자 안으로 벌집을 옮기고 보온상자째 벌통에 다시 넣거나 다른 빈 벌통에 보온상자를 넣은 후 벌집을 옮겨담는다. (洋蜂)

보온판(保溫板) : 양봉소상이나 양봉소상식토봉소상에서 벌집이 있는 곳과 없는 곳 사이를 틈새 없이 완전히 막아 보온을 돕는 단열판 (洋蜂)

복면포(覆面布) : 얼굴쓰개 참고

본분봉(本分蜂),제1기분봉(第一期分蜂),자분봉(子分蜂) : 월동구왕봉군에서 그해 처음으로 하는 일련의 분봉들. 비교:재분봉, 참고:분봉차수

본통(本桶),분봉본통(分蜂本桶),본통군(本桶群),원통(原桶),원봉군(原蜂群),원소상(原巢箱) : 분봉군이 나오기 전에 살던 벌통. 여왕벌 기준이 아니고 벌집과 벌통이라는 물건 기준이다

본통군(本桶群) : 본통(本桶) 참고

봉강기(蜂降機) : 벌통을 들어올리는 기기. 봉강기의 '강'자는 아마도 '내리다'는 뜻의 降인듯 한데 이 기기를 사용하는 목적이 벌통을 내리기 위함이라기 보다는 올리기 위함이니 봉양기(蜂揚機) 또는 봉승기(蜂昇機) 또는 봉거기(蜂擧機)가 나을 것이지만 근본적으로는 '벌통들개'가 알기 쉬울 것이다

봉개(封蓋) : 봉개(蜂蓋)밀개(蜜蓋)를 총칭하는 용어

봉개(蜂蓋) : 벌덮개 참고

봉개깍이(封蓋--) : 일거에 많은 벌방의 뚜껑과 그 안의 수벌새끼를 찔러서 제거할 수 있는 포크 모양의 기구. 수벌방으로 응애를 유인하여 뚜껑이 덮인 후 들어내어 제거할 때 또는 꿀뜨기 위해 꿀방의 뚜껑을 제거하는 데 사용한다

봉개봉충(封蓋蜂蟲) : 뚜껑이 닫힌 벌방 속에 존재하는 벌의 애벌레 또는 번데기

봉개봉판(封蓋蜂板),봉충판(封蟲板),봉충소비(封蟲巢脾) : 뚜껑 닫힌 벌방이 주로 존재하는 벌집으로서 그 속에는 애벌레 또는 번데기가 있는데 기간을 감안하면 주로 번데기가 존재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번데기판이라 한다

봉교(蜂膠) : 프로폴리스 참고

봉교망(蜂膠網) : 프로폴리스망 참고

봉구(蜂球) : 벌뭉치 참고

봉군(蜂群) : 벌무리 참고

봉군세(蜂群勢) : 세력(勢力) 참고

봉독(蜂毒) : 벌독 참고

봉밀(蜂蜜) : 벌꿀 참고

봉병(蜂病) : 성봉·벌새끼에 발병하는 질병을 뜻하며 대부분 미생물(바이러스,세균,원충 등)에 의해 발병한다.

봉사(蜂舍) : 비바람·눈·직사광선 등으로 부터 벌이 살고 있는 벌통을 보호하고 관리의 편의를 위한 건축물로서 벌이 드나들 수 있어야 하므로 앞이 트여 있다

봉산물(蜂産物) : 벌꿀·꽃가루·봉교·왕유·벌독 등 꿀벌로부터 얻는 생산물

봉상(蜂箱) : 소상(巢箱) 참고

봉세 : 세력(勢力) 참고

봉솔 : 벌솔 참고

봉아(蜂兒) : 벌새끼 참고

봉아권(蜂兒圈) : 벌새끼구역 참고

봉아방(蜂兒房) : 벌새끼방 참고

봉아질병(蜂兒疾病) : 벌새끼에 발병하는 질병

봉이 : 꿀벌 참고

봉장(蜂場) : 벌터 참고

봉저(蜂蛆) : 벌애벌레 참고

봉주(蜂主) : 벌지기 참고

봉지사양 : 얇은 비닐봉지에 사양액을 담고 새지 않도록 묶은 후 벌집 위에 올려줌. 사양액을 담은 후 비닐봉지를 묶을 때 공기가 많이 들어가면 두꺼워지고 굴러다닐 수 있으므로 공기를 빼고 묶어야 한다. 비닐봉지에 구멍을 뚫어줄 필요가 없으며 벌들이 알아서 뚫고 사양액을 먹는다.

봉충(封蟲) : 봉충(蜂蟲) 참고

봉충(蜂蟲),봉충(封蟲) : 蜂蟲(봉충)은 벌애벌레를 뜻하며 封蟲(봉충)은 뚜껑 덮인 벌방 속의 애벌레 또는 번데기를 뜻한다

봉충소비(封蟲巢脾) : 봉개봉판(封蓋蜂板) 참고

봉충판(封蟲板) : 봉개봉판(封蓋蜂板) 참고

봉침(蜂針) : 벌침 참고

봉판(蜂板),봉판(封板) : 蜂板(봉판)은 벌이 붙어 있는 벌집착봉판을 뜻하며 封板(봉판)은 뚜껑 덮인 벌방이 주로 있는 벌집 즉 봉개봉판을 뜻한다.

봉판(封板) : 봉판(蜂板) 참고

부저병(腐蛆病),foulbrood : 세균에 감염된 벌새끼가 죽어 썩는 병으로서 유럽부저병미국부저병이 있다. 부저병으로는 주로 애벌레애번데기가 죽으며 많지는 않지만 번데기도 죽는다는 점을 감안해서 한글로 병명을 지어보면 '꿀벌새끼썩음병'이다.

부채벌 : 선풍벌(扇風-) 참고

부채질 : 선풍(扇風) 참고

부화(孵化),알까기 : 꿀벌의 경우 알이 애벌레가 되는 일

분리계상(分離繼箱) : 기존 랑식벌통은 1층벌통(홑통)이 바닥판과 일체형이지만 분리계상은 1층벌통을 바닥판과 분리되도록 설계하여 1층부터 계상벌통을 사용한다. 토종벌다단사각벌통받침대가 있고 그 위로 몇 층을 올리든 같은 형식의 벌통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바닥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며 가상올리기, 바닥청소, 1층의 벌집들을 통째로 옮기기, 왕대 검사가 편리할 것이다. 기존벌통에 비해 응용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일체형이 아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벌통이동 시 벌통이 바닥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계하거나 해야 할 것이다. (洋蜂)

분리대두단백(分離大頭蛋白) : 탈지대두박(脫脂大豆粕) 참고

분리판(分離板) : 가름판 참고

분봉(分蜂) : 살림나기 참고

분봉군(分蜂群) : 살림난벌 참고

분봉망(分蜂網) : 벌을 공중에 날리지 않고 분봉군을 받기 위한 장치. 벌멍덕이나 나뭇가지 등에 분봉군이 붙었을 때보다 분봉군 수용이 간편하며, 봉군이 많은 경우 동시에 여러 벌통에서 분봉군이 나와 서로 합봉되는 경우가 있는데 분봉망을 사용하면 이를 피할 수 있다.

분봉본통(分蜂本桶) : 본통(本桶) 참고

분봉상자(分蜂箱子) : 인공분봉이나 짝짓기벌무리 조성 시 벌을 임시로 담아두는 직육면체의 상자인데 뼈대를 제외한 대부분이 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왕벌을 제외한 소비에 붙은 벌을 인공분봉상자에 떨어넣고 응애 등의 병해충 약품을 처리한 후 2일 정도 암실에 두었다 여왕벌이나 왕대와 함께 새로운 벌통에 넣어 분봉시키거나 짝짓기벌무리를 만든다. (洋蜂)

분봉성(分蜂性) : 살림날성질 참고

분봉열(分蜂熱) : 살림날기운 참고

분봉왕대(分蜂王臺),자연왕대(自然王臺) : 살림나기 위해서는 새 여왕벌이 필요한데 그 여왕벌을 육성할 목적으로 벌들 스스로 만든 왕대

분봉차수(分蜂次數) : 본분봉이든 재분봉이든 왕대를 여려개 지어서 그 속에 알을 낳아 새 여왕벌들을 키우다 분봉하는데 어미여왕벌(왕대에 알을 낳은)이 나가는 분봉을 1차분봉이라 하고, 왕대에서 자란 새 여왕벌이 나가는 분봉을 순서에 따라 2차분봉,3차분봉···N차분봉이라 한다

분봉철(分蜂-) : 꿀벌분봉하는 시기로서 대게 4월부터 6월까지다. 세력이 강하고 환경이 허락한다면 3월과 7~9월에도 분봉할 수 있다. 참고:번식기

비닐개포 : 비닐류의 개포인데 공기와 물이 통하지 않는다

비상왕대(非常) : 급조왕집 참고

비상왕집 : 급조왕집 참고

빈벌집,공소비(空巢脾) : 안에 아무 것도 들어있지 않은 벌집

빈틀,소광(巢框),소광대 : 나무막대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속이 빈 사각형의 틀로서 그 안에 벌집을 짓는다 (洋蜂)

사군상(四群箱),네가족벌통 : 물건으로서의 사군상은 칸막이를 끼울 수 있도록 벌통 안에 동일한 간격으로 세 줄의 홈이 평행하게 파여있고 나들문이 각 면에 하나씩 있는 벌통을 뜻한다. 각 홈에 칸막이를 끼워넣어 완전히 막아 서로 왕래하지 못하도록 하고 각 구역에 짝짓기벌무리수용한다. 일반 벌통의 나들문이 있는 4군상의 경우에는 나들문에 벌통벽 두께만큼의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은 칸막이나 나들문조절기로도 막히지 않으므로 그곳으로 두 벌무리 간에 벌들이 왕래할 수 없도록 별도로 막아주어야 한다. 한편, 사군상의 각 벌무리에 별도의 개포를 사용해야 서로 왕래하지 못하는데 각 칸막이의 상단에 각 개포의 한쪽을 고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어떤 형식으로 넷으로 나누었든 하나의 벌통에 네개의 벌무리가 살도록 했다면 사군상이다.(洋蜂)

사봉(死蜂) : 죽은벌 참고

사양(飼糧) : 먹이주기 참고

사양(飼養) : 기르기 참고

사양기(飼糧器) : 먹이그릇 참고

사양수(飼糧水),사양액(飼糧液) : 글자대로라면 '먹이용 물'이지만 벌치기에서는 벌에게 먹이는 당액을 뜻하는 게 보통이다.

사양액(飼糧液) : 사양수(飼糧水) 참고

산란(産卵) : 알낳기 참고

산란성일벌 : 알 낳는 일벌 참고

산란소비(産卵巢脾) : 알판 참고

산란실 : 산란육아실(産卵育兒室) 참고

산란육아(産卵育兒) : 여왕벌이 알을 낳고 그 알을 일벌들이 벌로 키워내는 일련의 행동

산란육아권(産卵育兒圈),육아권 : 산란육아를 하는 구역. 여러 개의 벌집이 있는 경우 가운데 벌집부터 시작하고 각각의 벌집에서는 중앙에서부터 시작한다. 여건이 좋지 않으면 그 구역이 좁고 여건이 좋으면 넓어진다

산란육아실(産卵育兒室),산란실,육아실 : 여왕벌이 알을 낳고 그 알을 일벌들이 벌로 키워내는 일련의 행동이 이루어지는 층. 2층 이상인 벌통의 경우 꿀만을 저장하는 층과의 구분을 위한 용어로서 여왕벌이 활동하는 층이 산란육아실이다.

산란육아주기(産卵育兒週期) : 여왕벌이 낳은 알이 어른 벌들의 보살핌으로 애벌레,애번데기,번데기를 거쳐 완전한 벌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서 여왕벌은 16일, 일벌은 21일, 수벌은 24일이다. 환경에 따라 하루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

산란육아주기깨기(産卵育兒週期--) : 꿀벌번식기에 계속해서 알을 낳고 벌새끼를 기르므로 응애나 벌새끼질병의 방제효율이 떨어진다. 이 때 여왕벌을 가두거나 제거하여 알을 낳지 못하게 하거나 벌새끼를 제거하여 일정 기간 동안 새끼기르기를 중단시키는 것을 뜻한다. 응애구제를 목적으로 하거나 적지 않은 벌새끼가 질병에 걸렸을 때 병원체를 제거할 목적으로 시행하는 게 보통인데 이렇게 하면 응애나 병원체가 숨을 곳이 없어지므로 방제효율이 높아진다.

산란육아확장시기(産卵育兒擴張時期) : 산란육아량이 급격히 느는 시기를 말한다. 삼사월과 구월이 이에 해당하며 성봉 1마리 당 돌봐야 할 벌새끼수가 많아 성봉과 벌새끼의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각종 병해충이 좋아하는 환경이므로 관리를 잘해야 한다.

산란판 : 알판 참고

산웅단위생식(産雄單位生殖) : 수벌은 무정란에서 발생하는 반수체이며, 일벌은 유정란에서 발생하는 배수체인데 성결정 유전자좌의 대립유전자가 이형접합이면 일벌이 되지만 동형접합이면 대부분 벌이 되지 못하고 부화과정에서 일벌에 의해 제거되는데 살아남은 것은 배수체 수벌이 된다

산자단위생식(産雌單位生殖) : 산란성일벌이 낳은 무정란에서 배수체인 일벌 또는 여왕벌이 발생하는 현상. 감수분열 직후 배수체 핵이 생성됨으로써 배수체인 일벌 또는 여왕벌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그 빈도수가 매우 낮다

살림나기,세간나기,새끼낳기,분봉(分蜂),벌나기,살림내기,벌내기 : 하나의 벌무리가 두 개의 벌무리로 나뉘어지는 것. 살림나기·세간나기·벌나기는 자연분봉을 뜻하고 살림내기·세간내기·벌내기는 인공분봉을 뜻한다. 참고:본분봉, 재분봉, 손분봉, 그루벌

살림난벌,분봉군(分蜂群) : 별도로 살림을 차리기 위해 본통에서 분가해나온 벌무리

살림날기운,분봉열(分蜂熱) : 살림나려는 열의. 좁게는 오늘이나 내일 살림나기 위해 준비하면서 일을 열심히 하지 않는 상태를 분봉열이 발생했다고 하며 넓게는 장차 살림나기 위해 왕대를 건설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분봉열이 발생했다고 한다

살림날성질,분봉성(分蜂性) : 살림나려는 성향

살림내기 : 살림나기 참고

삼나무,스기목,스기나무 : '스기'는 삼나무를 뜻하는 일본어 낱말 발음을 한글로 표기한 것이다. 우리말인 '삼나무'로 불러야 한다.

삼이성(三異性) : 꿀벌에는 여왕벌, 일벌, 수벌 등 서로 다른 세 가지 성이 있다

상단칸(上段-) : 벌통의 가장 윗칸

상잔(上棧) : 윗대 참고

상판(上板) : 윗뚜껑 참고

새끼기르기,육아(育兒) : 일벌들이 벌새끼를 기름

새끼기르기벌,육아벌(育兒-),유모벌(乳母-) : 안일벌들 중 벌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등 벌새끼기르기에 직접 종사하는 일벌

새끼기르기벌집,벌새기판,육아소비(育兒巢脾) : 벌새끼를 기르고 있는 벌방이 주로 있는 벌집

새끼기르기온도 : 동태온도(動態溫度) 참고

새끼낳기 : 살림나기 참고

새끼벌,어린벌,유봉(幼蜂) : 변태를 마치고 완전한 벌이 되어 벌방에서 나와 활동하는 벌인데 아직 그 일수가 얼마 안 된 어린 벌을 뜻함. 벌새끼와는 다른 뜻임. 새끼벌의 상대어는 노봉(늙은 벌)

새왕 : 신왕(新王) 참고

생청(生淸) : 가열하지 않은 벌꿀

서양종꿀벌(西洋種--),양봉(洋蜂),Apis mellifera : 양봉(洋蜂)으로 불리우는 꿀벌로서 원산지가 유럽인 꿀벌의 총칭이며 학명은 Apis mellifera다. 대표적인 아종亞種으로는 이탈리안종, 코카시안종, 카니올란종이 있다. 양봉은 모두 같은 종이며 아종 간에 교잡이 가능하지만, 토종벌과 양봉은 서로 종이 다르며 교잡이 되지 않는다. 참고:양봉(養蜂)

석고병(石膏病),stonebrood : 곰팡이인 Aspergillus 속(屬)의 석고병균들에 의해 애벌레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발병한 애벌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딱딱하게 미리라화 되는데 매우 단단하여 잘 부서지지 않는다. 참고:백묵병

석벌(石-) : 바위틈에 자리를 잡고 사는 벌무리

석청(石淸) : 석벌이 바위틈에 저장한 꿀. 인간이 관리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벌무리가 바위틈에 저장한 꿀을 일컫는 게 보통이다

석침(螫針) : 침으로 쏘다

선풍(扇風),부채질 : 벌이 날개짓으로 바람을 일으킴. 벌통환기,경계 등을 위해 바람을 일으킨다

선풍벌(扇風-),부채벌 : 날개로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벌

설벌,자리벌 : 분봉나온 벌무리는 자신들이 나온 벌통 가까운 곳에 임시로 뭉쳐 있으면서 소수 벌들을 여러곳으로 보내 살 곳을 찾고 마땅한 곳을 발견하면 벌무리 전체가 그곳으로 이동한다. 이렇듯 살 자리를 찾아나선 꿀벌을 설벌이라 한다. 장차 도망가려는 벌무리의 경우에는 벌통에서 나가기 전에 설벌을 보낸다. 설벌이 돌아오면 벌무리는 머뭇거리지 않고 설벌이 이끄는 곳으로 이동한다. 설통에 든 벌을 설벌이라 하기도 한다.

설사병(泄瀉病) : 소화불량으로 설사하는 증세

설통,벌유인통 : 벌무리를 유인할 목적으로 놓는 벌통. 도망군이나 분봉군을 유인할 목적으로 산에 놓는 게 보통이다. 통나무벌통을 설통이라 부르는 이도 있다. 참고:유인봉상

: 벌집 참고

성봉(成蜂) : 자란벌 참고

성충벌(成蟲-) : 자란벌 참고

세간나기 : 살림나기 참고

세력(勢力),벌세력,봉군세(蜂群勢),군세,봉세 : 벌무리의 세력·기세·능력·힘. 마리수가 많고 질병이 없으면 세력이 강한 게 보통이다

세장,청개다리,심대,심살,간대,간살 : 벌집이 주저앉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쪽 벌통벽에 뚫은 구멍과 모든 벌집 평면을 직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꼬챙이. 끝을 뾰족하되 너무 가늘지 않게 깍은 세장을 벌통벽의 구멍으로 넣은 후 돌려가며 서서히 밀어넣어 벌집을 직각으로 관통하게 하여 반대쪽 벌통벽에 닿으면 맨손,뺀찌,망치로 지그시 눌러주면 약간 박힌다. 세장 하나 당 구멍은 한쪽벽에 하나만 뚫는다. 이렇게 나란히 2개의 세장을 설치하고 더욱 튼튼하게 하려면 그 아래 칸에 삼각형이 되도록 하나 더 설치한다. 벌통칸 하나에 나란히 세장을 2개 설치할 때 세장 하나는 이쪽 벽에 구멍을 뚫고 나머지 하나는 반대쪽 벽에 뚫어서 설치하면 더욱 튼튼하다. 세장을 위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윗칸까지 치켜올라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꿀뜰 때 그 두 칸 사이를 자르면 세장을 따라 잘리면서 엉망이 되거나 세장이 걸려서 잘리지 않기 때문이다. 설치하는 세장의 갯수는 벌지기에 따라 벌통칸수에 따라 다르다.

소광(巢框) : 빈틀 참고

소광대 : 빈틀 참고

소랍도 : 끌개 참고

소리다 : 솔다 참고

소문(巢門) : 나들문 참고

소문가리개 : 나들문가리개 참고

소문급수기(巢門給水器) : 나들문물통 참고

소문조절기(巢門調節器) : 나들문조절기 참고

소문터널 : 나들문굴(---窟) 참고

소밀(巢蜜) : 벌집꿀 참고

소방(巢房) : 벌방 참고

소분기(小分器) : 채밀벌꿀을 꿀병에 나눠담기 위한 설비를 소분기라 한다. 자동화된 경우 벌꿀을 꿀병에 나눠담는 기계설비가 소분기이겠지만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사용하는 것은 기계설비가 아니라 벌꿀을 담아두는 큰 통인데 벌꿀을 꿀병에 나눠담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벌꿀은 점성이 높으므로 소분기에 담긴 벌꿀을 꿀병에 나눠담기 위해서는 벌꿀이 잘 흘러나올 수 있는 크기의 밸브가 필요하다.

소비(巢脾) : 벌집 참고

소비고정강철,이동강철 : 차량으로 벌통을 이동할 때 충격에 의해 벌집이 요동하지 않도록 마지막 벌집틀에 밀착해서 벌통 내부 앞벽과 뒷벽에 활처럼 휘어서 설치한다 (洋蜂)

소비광(巢脾框) : 벌집틀 참고

소비반전(巢脾反轉) : 벌집방향바꾸기 참고

소비잡기 : 소비집게 참고

소비전환(巢脾轉換) : 벌집자리바꾸기 참고

소비집게,벌집집게,소비잡기 : 벌통속의 벌집틀을 들어낼 때 벌집틀을 집는 기구 (洋蜂)

소상(巢箱),봉상(蜂箱) : 벌통을 뜻한다. 한자대로라면 상자형의 벌통만을 소상(봉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나 형식에 상관 없이 벌통을 소상(봉상)이라고 한다.

소초(巢礎) : 벌집기초 참고

소초광(巢礎框) : 벌집기초틀 참고

소충(巢蟲) : 벌집벌레 참고

소형수벌,작은수벌 : 작은수벌은 여왕벌 또는 일벌일벌방에 낳은 미수정란(무정란)이 자라 발생한다. 작은수벌의 짝짓기 능력에 논란이 있으나 짝짓기가 가능하다는 쪽이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속살피기,내검(內檢) : 벌무리의 상태 등 벌통속 사정을 관찰·조사함. 간이내검정밀내검이 있다

속포장 : 안포장 참고

손분봉(孫分蜂),손자분봉(孫子分蜂) : 벌통이라는 물건을 기준으로 원래 벌통속에 있는 벌무리를 어미 벌무리로 보고 분봉나온 벌무리를 새끼 벌무리로 보는 관점에서 분봉나온 구왕 벌무리에서 분봉이 나는 것을 일컫는 경우가 많다. 한편, 혈통을 중시하는 관점에서는, 분봉 과정에서 출생한 신왕분봉본통을 장악하고 알을 낳아 새로운 여왕벌(구왕기준으로 손자 여왕벌)을 육성하고 결국 분봉하게 되는 것을 일컫는 이도 있는 바 이 경우 보통은 분봉본통을 장악한 신왕봉군에서 손자분봉이 날 수 있는데 분봉나온 구왕봉군에서 분봉이 나는 그루벌에 비해 그 빈도가 매우 낮다.

손자분봉(孫子分蜂) : 손분봉(孫分蜂) 참고

솔다,소리다 : '솔다'의 사전적 의미는 '물기가 있던 것이나 상처 따위가 말라서 굳어지다'이며 '꿀이 솔다'는 벌꿀의 포도당이 굳어서 설탕덩어리처럼 되는 현상을 말한다. '솔다'가 맞고 '소리다'는 틀린 말. '꿀이 소리는 현상'에서 '소리는'은 잘못된 활용이고 '꿀이 소는 현상'에서처럼 '소는'으로 활용해야 한다

수동채밀기 : 채밀기(採蜜器) 참고

수밀(收蜜) : 꿀벌밀원에서 꿀을 거두어들임

수벌,웅봉(雄蜂),수펄 : 수컷 벌. 염색체가 여왕벌일벌은 이배체로서 32개(16쌍)지만 수벌은 반수체로서 16개다. 수벌은 여왕벌의 알이 정자와 수정되지 않고 발생한다. 따라서, 수벌은 어미 여왕벌의 반쪽 분신이다.'수펄'은 잘못된 표현.

수벌모임장소 : 수벌모임지역 참고

수벌모임지역,수벌모임장소 : 인근의 수벌들과 처녀여왕벌들이 모여드는 하늘의 일정 장소를 뜻한다. 이곳에서 수벌과 처녀여왕벌이 짝짓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근친교배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수벌방 : 수벌을 키워내는 벌방으로서 일벌방보다 크고 밖은 육각형이지만 안은 원이다. 뚜껑이 닫힌 상태일 때 일벌방은 편편한데 반해 수벌방은 볼록하다. 일벌방에 미수정란이 산란되어 크는 경우에도 벌방 크기만 작고 이중구조라는 점과 뚜껑이 볼록하다는 점은 보통의 수벌방과 동일하다.

수벌번데기,웅봉저(雄蜂蛆) : 웅봉(雄蜂)수벌이고 저(蛆)는 애벌레이므로 웅봉저(雄蜂蛆)는 '수벌 애벌레'라고 함이 맞지만 '수벌 번데기'(웅봉용;雄蜂蛹)를 웅봉저(雄蜂蛆)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수벌벌집 : 수벌소비 참고

수벌벌집바탕,웅봉소초(雄蜂巢礎) : 수벌방만 지을 수 있도록 제작된 벌집바탕. 수벌번데기를 생산하거나 각종 응애구제를 위해 사용한다 (洋蜂)

수벌소비,수벌벌집 : 수벌방만 있는 소비

수분(受粉) : 꽃가루받이 참고

수여리 : 여왕벌

수용(收容) : 앉히기 참고

수직격왕판 : 왕막음판 참고

수펄 : 수벌 참고

수평격왕판 : 왕막음판 참고

수평사양기 : 윗사양기 참고

스기나무 : 삼나무 참고

스기목 : 삼나무 참고

스티로폼벌통 : 스티로폼으로 만든 벌통. 별도의 월동포장이 필요없고 여름철에는 방서에 좋으나 습기를 잘 관리해야 한다 (洋蜂)

시구(翅鉤) : 꿀벌의 앞날개와 뒷날개를 연결해주는 갈고리

시녀벌(侍女-) : 여왕벌에게 왕유를 주고 몸단장을 시키는 등 여왕벌을 돌보는 일벌

시맥(翅脈) : 꿀벌의 날개에 있는 맥이다. 아종·품종·환경에 상관 없이 토종벌(한봉)과 서양종꿀벌을 구별할 수 있는 외형적 기준은 뒷날개의 맥인데 토종벌은 중앙맥의 연장맥이 있지만 서양종꿀벌에는 없다.

신왕(新王),새왕,햇왕 : 당년도에 출생한 여왕벌

신왕봉군(新王蜂群) : 신왕이 왕노릇하는 벌무리

심대 : 세장 참고

심살 : 세장 참고

십매상(十枚箱). 10매상 : 10개의 벌집틀과 1개의 광식사양기를 넣을 수 있는 랑스트로스벌통.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10매상은 소초광 또는 옆대에 이물질이 묻지 않은 벌집틀만 넣으면 11장이 들어가지만 벌집틀을 사용하다 보면 프로폴리스밀랍 등이 옆대에 묻어서 두꺼워지므로 10장만 들어간다. (洋蜂)

쌍왕군(雙王群) : 일상이왕(一箱二王) 참고

아까시꿀,아카시아꿀 : 꿀벌이 아까시꽃으로부터 수집한 벌꿀을 뜻한다.

아랫대,하잔(下棧) : 빈틀은 나무막대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속이 빈 사각형의 틀인데 그 중 아랫쪽의 대를 아랫대라고 한다 (洋蜂)

아사(餓死) : 굶어죽음

아카시아꿀 : 아까시꿀 참고

안일벌,내역봉(內役蜂),내역벌 : 벌통 안에서 일하는 일벌, 주로 15일령 이내의 일벌이 안일을 한다

안포장,속포장 : 겨울나기 포장할 때 양봉소상이나 양봉소상식토봉소상에서 벌통 안에 벌집이 있는 공간 가장자리를 빙 둘러서 단열재를 설치하기도 하고 개포를 두껍게 덮어주기도 한다

앉히기,수용(收容) : 주로 분봉나온 벌무리를 잡아서 빈 벌통에 들어가도록 하여 별도의 자리에 배치하여 그곳에서 살도록 하는 것

알 낳는 일벌,산란성일벌 : 여왕벌이 죽거나 사라지고 난 후 봉아가 들어 있는 왕대도 없고 봉아가 들어있는 것으로 벌들이 오인할 만한 왕대도 없는 상황에서 급조왕대로도 여왕벌을 키워낼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일벌이 알을 낳게 되는데 일벌은 수벌과 교미할 수 없으므로 일벌이 낳는 알은 무정란이어서 수벌만 생산하게 되어 결국은 벌무리가 망하게 된다. 극히 일부는 산자단위생식에 의해 일벌이나 여왕벌을 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산란성일벌은 벌방 하나에 알을 두 개 이상 낳는 게 보통이고 알이 놓인 방향도 제각각이다

알까기 : 부화(孵化) 참고

알낳기,산란(産卵) : 알을 낳음

알장 : 알판 참고

알판,알장,산란판,산란소비(産卵巢脾) : 알이 든 벌방이 주로 있는 벌집 (洋蜂)

애번데기 : 전용(前蛹) 참고

애벌레,유충(幼蟲) : 알이 부화된 것. 알은 자체 양분을 이용하지만 애벌레 때부터는 체외의 먹이를 먹는다. 구더기는 파리의 애벌레

애벌레기르기,육충(育蟲) : 애벌레를 기름. 또는 새끼기르기

애벌레벌집,애벌레판,애벌레장 : 애벌레가 든 벌방이 주로 있는 벌집 (洋蜂)

애벌레옮기기 : 이충(移蟲) 참고

애벌레장 : 애벌레벌집 참고

애벌레판 : 애벌레벌집 참고

야생벌통(野生-桶),Feral bee : '야생벌통'은 영어로는 'Feral bee hive'다. 'Feral bee hive'는 야생 상태의 벌무리벌통 없이 짓고 사는 벌집을 일컫는데 우리나라에서 '야생벌통'은 광주에 소재한 야생양봉원에서 다단계상을 편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여 특허를 보유하고 생산한 벌통을 말한다 (洋蜂)

야생화꿀,잡화꿀,모듬꿀 : 단일 밀원이 아닌 여러 가지 밀원으로부터 꿀벌이 수집한 벌꿀을 뜻한다.

야지월동(野地越冬) : 노지월동(露地越冬) 참고

약군(弱群) : 세력이 약한 벌무리

약탈양봉(掠奪養蜂) : 벌무리를 죽이고 꿀을 뜨거나 꿀을 과다하게 떠서 벌무리를 죽이는 벌치기 방식, 또는, 먹이부족 등의 원인으로 벌무리가 죽음의 위기에 처했을 때 구할 방법이 있음에도 방치하는 벌치기 방식을 말한다. 10월 이후 꿀뜨고 난 후 겨울을 나고 꽃이 많이 피어서 벌무리가 꽃에서 들여온 꿀만으로도 살 수 있는 사월하순 내지 오월중순까지 필요한 꿀의 양은 두 되 정도인데 이 꿀값에 비해 벌값이 상당히 낮은 경우 일부 몰지각한 이에 의해 자행된다

양봉(養蜂),양봉(洋蜂) : 한글로는 같지만 한자에 따라 벌기르기(養蜂) 또는 서양종꿀벌(洋蜂)

양봉(洋蜂) : 서양종꿀벌(西洋種--) 참고

양봉가(養蜂家) : 벌지기 참고

양봉소상(洋蜂巢箱) : 서양종꿀벌을 치는 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상자형 벌통으로서 랑스트로스벌통 또는 간략히 랑식벌통 또는 라식벌통이라 한다. 벌통 하나에 열 개 정도의 벌집틀이 들어갈 수 있고 개개의 벌집틀은 자유로이 자리를 옮길 수 있다. 서양종벌치기와 토종벌치기의 차이점 상당부분이 이에 기인한다.

양봉소상식토봉소상(洋蜂巢箱式土蜂巢箱),토봉개량소상,개량토봉소상 : 양봉소상과 동일한 형식이지만 토종벌의 생리에 맞게 치수가 다소 조정된 벌통

양봉인(養蜂人) : 벌지기 참고

어린벌 : 새끼벌 참고

어미여왕벌 : 특히 분봉과 관련하여 왕대에 알을 낳은 여왕벌을 말하며 따라서 그 왕대에서 출생하는 여왕벌의 어미다

얼굴쓰개,복면포(覆面布),면포(面布) : 벌이 쏘지 못하도록 머리에 둘러쓰는 보호구로서 망사 등으로 만든다

에어콤 : 고압 공기를 뿜는 기구로서 꿀뜨기 등의 작업 시 벌통속의 벌을 쫓아내는 데 사용한다

여름나기,월하(越夏) : 여름을 남. 주로 장마와 무더위를 나는 것을 일컬음. 이 시기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 병해충에 취약할 수 있다

여름나기포장,월하포장(越夏包裝) : 햇볕과 비바람을 막기 위해 벌통을 사료포대 등으로 감싸주는 것

여왕벌,여왕봉(女王蜂) : 벌무리의 왕노릇을 하는 암컷 벌로서 일벌 보다 체구가 상당히 크다. 여왕벌은 알을 낳아 일벌과 수벌을 생산하는 등 벌무리의 구성원을 재생산하는 역할과 페로몬을 분비하여 벌무리를 통솔하는 역할을 한다

여왕벌갱신 : 여왕벌바꾸기 참고

여왕벌교체 : 여왕벌바꾸기 참고

여왕벌넣기,여왕벌유입 : 여왕벌이 없는 벌무리에 여왕벌을 넣어주는 것을 말하는데 여왕벌유입롱에 가두어서 넣어주는 방법과 여왕벌을 직접 넣어주는 방법이 있다.

여왕벌마킹 : 마킹 참고

여왕벌물질,여왕벌페로몬 : 여왕벌은 페로몬을 분비하여 벌통 안의 모든 벌들을 통솔하며 일벌의 난소발육을 억제한다.

여왕벌바꾸기,여왕벌교체,여왕벌갱신 : 기존 여왕벌을 제거하고 다른 여왕벌을 넣어줌

여왕벌양성군,왕대양성군(王臺養成群) : 관리자가 이충이나 비상왕대로 새로운 여왕벌을 양성하도록 유도한 벌무리를 말한다. 여왕벌이 없는 분봉군을 조성하거나 여왕벌이 있는 2층 이상인 벌통수평격왕판을 설치해서 여왕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한 후, 여러개의 이충왕대를 부착한 이충틀을 넣어주는 게 보통이다. 세력이 강한 벌무리에서 양성해야 성적이 좋다.

여왕벌유입 : 여왕벌넣기 참고

여왕벌유입롱(女王蜂流入籠) : 여왕벌을 유입하기 위해 여왕벌을 가두어두는 작은 상자인데 왕롱과는 다르게 출입구가 2개 있으며 그 출입구를 연당이나 화분떡으로 막아두면 일벌들이 갉아내어 여왕벌이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여왕벌을 직접 넣어주면 일벌들이 여왕벌을 물어죽이는 경우가 있어 친숙하게 하려는 목적과 함께 벌지기가 열어주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 때문에 사용한다.

여왕벌페로몬 : 여왕벌물질 참고

여왕봉(女王蜂) : 여왕벌 참고

역봉 : 밖일벌 참고

역사(役事) : 꿀벌의 집짓기·산란육아 등 안일과 꽃꿀·꽃가루 수집 등 밖일을 통들어 일컫는 말

연기뿜기,훈연(燻煙) : 연기를 뿜음. 속살피기 등의 관리 시 벌이 사납게 달려드는 것을 방지하거나 벌을 쫓기 위해 마른 쑥 등을 태워 연기를 뿜는다

연기풍개,훈연기(燻煙器) : 연기 뿜는 기구

연당 : 고운 가루로 빻은 분말설탕을 물이나 꿀과 함께 섞어서 너무 무르거나 딱닥하지 않게 반죽한 것. 벌의 먹이로 공급한다.

연습비행 : 낮놀이 참고

옆대,측잔(側棧) : 빈틀은 나무막대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속이 빈 사각형의 틀인데 그 중 오른쪽과 왼쪽의 대를 옆대라고 한다. (洋蜂)

예비벌집 : 가름판 너머에 둔 꿀판·빈벌집·벌집기초틀. 가름판 안쪽에 벌이 많아 여유가 생기면 예비벌집으로 넘어와 작업을 한다

옛왕 : 구왕(舊王) 참고

온고계상 : 전고계상(全高繼箱) 참고

왕가두개,왕롱(王籠) : 여왕벌을 가두어두는 작은 상자

왕갈이,왕교체(王交替) : 여왕벌을 바꿈

왕교체(王交替) : 왕갈이 참고

왕기르개,왕알그릇,왕완(王椀) : 왕대의 기초. 왕대는 그 안에서 자라고 있는 여왕벌이 될 벌새끼까지 포함한 뜻으로도 사용하지만 왕완은 아직 다 지어지지 않은 왕대로서 벌새끼를 포함하지 않는 용어다.

왕대(王臺),왕집 : 이곳에서 여왕벌이 육성되는데 일벌방이 속이 빈 육각기둥인데 비해 왕대는 속이 빈 원기둥이고 일벌방보다 상당히 더 크다. 그 속에 든 여왕벌 봉아를 포함하여 왕대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왕대보호기 : 여왕벌이나 일벌왕대를 파괴하지 못하도록 왕대에 씌우는 기구. 여왕벌양성군(왕대양성군)에는 왕대를 여러 개 두는데 그 중 먼저 출방한 여왕벌이 나머지 왕대를 파괴할 수 있으며 아직 왕대나 다른 여왕벌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봉군의 경우 일벌이 왕대를 파괴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왕대에 씌워두는 것을 왕대보호기라고 한다. 왕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만 하고 출방한 여왕벌은 왕대보호기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만들어진 형식이 있고 왕대보호는 물론 출방한 여왕벌이 왕대보호기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만들어진 형식이 있다. 여왕벌이 출방하기 전에 왕대를 이식하는 경우에는 필요치 않지만 여왕벌양성군에서 출방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왕롱을 겸한 왕대보호기를 사용해야 한다.

왕대분봉(王臺分蜂) : 인공분봉여왕벌이 아닌 왕대와 함께 분봉시키는 것

왕대양성군(王臺養成群) : 여왕벌양성군 참고

왕대이식(王臺移植) : 왕집옮기기 참고

왕롱(王籠) : 왕가두개 참고

왕막음판,격왕판(隔王板),수직격왕판,수평격왕판,평면격왕판 : 일벌은 통과할 수 있으나 여왕벌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구멍들을 가진 판으로서 수평격왕판(평면격왕판)과 수직격왕판이 있다. 수평격왕판은 층 사이에 수평으로 눕혀서 설치하고 수직격왕판은 특정 층 안의 벌집틀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한다. 격왕판으로 나뉘어져 여왕벌이 없는 쪽에 산란 없이 꿀만을 저장하게 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게 보통이다 (洋蜂)

왕먹이 : 왕젖 참고

왕알그릇 : 왕기르개 참고

왕완(王椀) : 왕기르개 참고

왕유(王乳) : 왕젖 참고

왕젖,왕먹이,로열제리,왕유(王乳) : 어린 일벌이 분비하는 물질로서 여왕벌애벌레의 먹이로 쓰인다

왕젖뜨기,로열제리뜨기,채유(採乳) : 로열제리 채취

왕집 : 왕대(王臺) 참고

왕집옮기기,왕대이식(王臺移植) : 왕대를 떼어내어 옮겨 심음. 주로 여왕벌과 왕대가 없는 다른 벌통에 옮겨심는다

왕탱이 : 장수말벌 참고

외검(外檢) : 벌통밖에서 벌들의 활동상태를 관찰하여 벌무리의 상태를 어림짐작함. 숙달되면 속살피기를 하지 않고도 벌무리의 이상유무를 알 수 있으며 외검 결과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속살피기를 하는 게 보통이다

외부포장(外部包裝) : 밖포장 참고

외역벌 : 밖일벌 참고

외역봉(外役蜂) : 밖일벌 참고

용화(蛹化),화용(化蛹) : 번데기가 됨

우화(羽化),날개돋이 : 번데기가 날개 있는 자란벌레가 됨

웅봉(雄蜂) : 수벌 참고

웅봉소초(雄蜂巢礎) : 수벌벌집바탕 참고

웅봉저(雄蜂蛆) : 수벌번데기 참고

원봉군(原蜂群) : 본통(本桶) 참고

원소상(原巢箱) : 본통(本桶) 참고

원통(原桶) : 본통(本桶) 참고

월동(越冬) : 겨울나기 참고

월동사양(越冬飼糧) : 겨울먹이주기 참고

월동창고(越冬倉庫) : 겨울나기창고 참고

월동포장(越冬包裝) : 겨울나기포장 참고

월하(越夏) : 여름나기 참고

월하포장(越夏包裝) : 여름나기포장 참고

윗대,상잔(上棧) : 빈틀은 나무막대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속이 빈 사각형의 틀인데 그 중 윗쪽의 대를 윗대라고 한다 (洋蜂)

윗뚜껑,상판(上板) : 벌통의 가장 윗부분을 막는 판 또는 뚜껑

윗사양기,수평사양기,평면사양기 : 벌통벌집틀 위에 올려두고 사용하는 자동사양기 (洋蜂)

유기산(有機酸) : 산성 유기화합물의 총칭. 친환경양봉에서 꿀벌응애를 구제하기 위해 개미산·옥살산·젖산을 주로 사용한다 (洋蜂)

유기양봉(有機養蜂) : 특히 각종 인공 화학 살충제나 항생제 대신 유기산 등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병해충을 구제하는 방식의 벌치기를 일컫는다 (洋蜂)

유럽부저병(--腐蛆病),European foulbrood(EFB) : 유럽부저병 세균은 애벌레에만 감염되며 감염되면 굶어서 죽는다. 이 세균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오염된 꿀,화분,벌집,벌,벌기구 등을 미감염 벌통에 넣으면 전염되며 도봉벌쏠림 그리고 벌지기를 통해서도 전파된다. 미국부저병과는 달리 벌무리가 망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세력이 약해져서 생산성을 잃는 게 보통이지만 잘 근절되지는 않는다. 주로 미봉개 벌방속의 애벌레가 감염되어 죽는데 사체는 가끔 곤죽이 될 때까지 방치되기도 하지만 그 보다는 애벌레 모습을 갖춘 상태에서 벌방바닥에서 이탈해 있을 때 벌들이 제거하는 게 보통이다. 사체는 유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최종적으로 갈색 비늘로 마른다. 마르기 전의 사체를 이쑤시개로 찍어내보면 1~2㎝ 늘어난다. 심하게 감염되면 곰보봉판이 된다. 이러한 증상들과 더불어 사체를 우유에 넣고 흔든 다음 몇분 지나면 굳는 특징이 있기는 하지만 확진은 실험실에서만 가능하다. 육아환경이 열악할 때와 스트레스로 인해 발병하는데 유밀기가 된다든가 하여 벌들의 청소행위가 활발해지면 호전된다. 치료법으로는 건강한 봉군에서 애벌레벌집을 하나 꺼내서 넣어주고 50% 당액을 주면 새로 넣어준 건강한 애벌레를 집중적으로 돌보고 감염된 애벌레는 돌보지 않아 죽으면 청소하게 된다. 또한 신왕으로 교체해주면 산란육아주기가 깨져서 감염된 애벌레를 청소할 여유가 생기며 이 질병에 강한 여왕벌을 유입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치들로 일시적인 호전을 기대할 수는 있지만 완치는 안 된다. 환경이 나빠지면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는 뜻이며 예방이 최선책이다.

유리 : 벌집벌레 참고

유모벌(乳母-) : 새끼기르기벌 참고

유밀기(流蜜期),꿀나는시기 : 꿀을 분비하는 꽃이 상당히 피어 꿀벌이 꿀을 따올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시기. 꽃이 많더라도 꿀이 잘 나지 않는 종류의 꽃들이 대부분이거나 꿀이 많이 나는 꽃이 피었더라도 그 수량이 아주 적으면 유밀기라 하지 않는다

유밀기가상(流蜜期假想) : 무밀기자극사양을 하면 마치 유밀기인 것처럼 벌들이 산란육아를 열심히 하게 된다

유봉(幼蜂) : 새끼벌 참고

유왕군(有王群) : 여왕벌이 있는 벌무리

유인봉상(誘引蜂箱) : 글자대로라면 벌을 유인하는 벌통설통을 뜻한다. 하지만, 벌받이를 유인봉상이라 부르기도 한다. 설통은 벌이 정착하여 살 수 있도록 갖추어진 반면 벌받이는 깊이가 없거나 아주 낮고 아래가 막혀 있지 않으며 공중에 매달려 있으므로 그 곳에서 벌이 정착하여 살 수는 없다.

유잡화분(油雜花粉) : 유채화분(油菜花粉) 참고

유지뱅이 : 주저리 참고

유채화분(油菜花粉),유잡화분(油雜花粉),잡화분(雜花粉) : 유채화분은 유채의 꽃가루. 유잡화분은 유채화분이 주를 이루고 다른 식물의 꽃가루가 적지 않게 섞여 있는 꽃가루. 잡화분은 다양한 식물의 꽃가루가 섞인 꽃가루 또는 유채가 아닌 다른 식물의 꽃가루

유충(幼蟲) : 애벌레 참고

유희비행(遊戱飛行) : 낮놀이 참고

육아(育兒) : 새끼기르기 참고

육아권 : 산란육아권(産卵育兒圈) 참고

육아방(育兒房) : 벌새끼방 참고

육아벌(育兒-) : 새끼기르기벌 참고

육아벌방 : 벌새끼방 참고

육아소비(育兒巢脾) : 새끼기르기벌집 참고

육아실 : 산란육아실(産卵育兒室) 참고

육충(育蟲) : 애벌레기르기 참고

응애 : 꿀벌의 응애 참고

이군상(二群箱),2군상,두가족벌통 : 물건으로서의 이군상은 일반 벌통인데 벌통 안 중앙에 칸막이를 넣을 수 있도록 홈이 파여있는 벌통을 뜻한다. 벌통 하나를 두 구역으로 나누어 구역 간의 경계를 칸막이로 완전히 막아 서로 왕래하지 못하도록 하고 각 구역에 벌무리수용하고 나들문은 앞면의 좌우에 하나씩 설치한다. 나들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잘라낸 판자의 두께만큼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은 칸막이나 나들문조절기로도 막히지 않으므로 그곳으로 두 벌무리 간에 벌들이 왕래할 수 없도록 별도로 막아주어야 한다. 한편, 이군상의 두 벌무리에 별도의 개포를 사용해야 서로 왕래하지 못하는데 칸막이의 상단에 개포의 한 쪽을 고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어떤 형식으로 둘로 나누었든 하나의 벌통에 두 벌무리가 살도록 했다면 이군상이다. (洋蜂)

이동강철 : 소비고정강철 참고

이동깔깔이,계상깔깔이 : 벌통을 차량으로 이동할 때 벌통뚜껑이나 계상이 탈락하지 않도록 벌통을 묶는 넓직하고 질긴 띠인데 버클이 부착되어 있는 게 보통이다. (洋蜂)

이동소문망,이동소문창 : 벌통을 차량으로 이동할 때는 벌들이 벌통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데 그렇다고 소문으로 환기가 되지 않게 막으면 벌들이 쪄죽을 수 있으므로 소문을 열어두되 밖으로는 나오지 못하도록 벌통 앞면에 설치하는 기구다. 기온, 벌무리세력, 이동거리 등에 따라 소문의 개방도를 달리해야 한다.

이동소문창 : 이동소문망 참고

이동양봉(移動養蜂) : 꽃을 따라 장소를 이동해가며 벌을 기름

이충(移蟲),애벌레옮기기 : 일벌 애벌레왕대(왕완)에 옮김. 이충할 당시 애벌레의 일령에 따라 이충 후 10.0~13.0 일에 여왕벌출방한다. 여왕벌 양성 또는 로열제리 생산 목적으로 이충하는 게 보통이다. 3일령 이내의 일벌 애벌레면 가능하지만 1일령이 가장 좋다. 공급되는 로열제리의 양이 일벌방 보다는 왕대에 더 많기 때문일것이다.

이충침(移蟲針) : 일벌방애벌레를 떠올리거나 묻혀서 인공왕대에 옮기는 기구. 침 또는 수저 모양이다.

이충틀,제리틀,채유광(採乳框) : 로열제리여왕벌를 생산하기 위한 인공왕대를 수십 개 부착할 수 있는 틀

이충판(移蟲板) : 대량으로 이충할 때 별다른 조치 없이 하면 적절한 일령일벌 애벌레를 찾아 여러 벌집을 전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벌집을 넣어주고 환경을 조성해주면 짧은 일수 안에 그 벌집에 집중산란하게 되어 그 벌집의 애벌레들 간에는 일령차이가 3일 이내여서 모두 이충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넣어주는 빈벌집을 이충판이라고 한다. 이충판의 벌방수와 벌무리산란력과 넣어두는 일수에 따라 일령차이가 결정된다. 이러한 조치와는 상관 없이, 이충하기 위한 일벌 애벌레가 있는 벌집을 이충판이라 하기도 한다.

이회이충(二回移蟲),2회이충 : 이충 후 1~3일이 지난 다음 아직 왕대의 뚜껑이 덮이지 않았을 때 왕대에서 기존의 애벌레를 제거하고 일벌방의 새로운 애벌레를 이충하는 것. 처음 이충할 때 왕대(왕완)에 왕유를 약간 깔거나 그냥 이충하여 왕대양성군에 넣어주면 일벌들이 왕대에 왕유를 공급한다. 이러한 왕대를 1~3일 후 꺼내보면 많은 량의 왕유가 깔려있는데 이 때 기존 애벌레를 제거하고 새로운 애벌레를 왕대에 이충한다. 왕유를 많이 먹고 자란 여왕벌이 능력이 더 좋다는 생각에서 이회이충을 하기도 하는데 반드시 이회이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처음 이충할 때 필요한 왕유는 분봉왕대,비상왕대를 헐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일벌방에 왕유를 듬뿍 주도록 사양관리하여 그 왕유와 함께 애벌레를 뜨면 도움이 된다. 성공률이 조금 떨어지기는 하지만 왕유 없이 이충해도 되며 며칠 후 성공한 왕대들의 왕유를 나눠서 실패한 왕대들에 깐 다음 다시 이충해도 된다.

익은 꿀 : 벌꿀전화와 숙성(轉化 熟成) 참고

인공분봉(人工分蜂) : 살림내기·세간내기·벌내기라고도 하며 벌무리를 사람이 강제로 둘 이상의 벌무리로 나누는 것

인공왕대(人工王臺),인공왕완(人工王椀) : 꿀벌이 스스로 지은 왕대와 같은 모양으로 인공적으로 만든 만든 왕대의 기초로서 지름 약 9㎜, 높이 약 10㎜의 원통형이다. 이충을 통한 새 여왕벌 양성이나 로열제리 생산을 위해 주로 사용한다 (洋蜂)

인공왕완(人工王椀) : 인공왕대(人工王臺) 참고

인공화분 : 꽃가루떡 참고

일군이왕 : 일상이왕(一箱二王) 참고

일령(日齡) : 일(日) 단위의 나이. 성봉이나 벌새끼(알,애벌레,번데기)의 일령을 말할 때 첫 24시간을 1일령이라고 한다.

일벌,공봉(工蜂),동봉(童蜂) : 생식능력이 불완전한 암컷 꿀벌로서 여왕벌이 낳은 알을 벌로 키워내기, 꿀·꽃가루·봉교 등 식량의 수집 등 벌무리를 위한 거의 모든 일은 일벌이 한다

일벌방 : 일벌을 키워내는 벌방으로서 속이 빈 정육각기둥 모양이다. 일벌방은 안과 밖 모두 정육각형이다.

일봉(日蜂) : 일본밀봉(日本蜜蜂)의 약칭으로서 일본의 토종벌이며 동양종꿀벌(Apis Cerana)이다

일상이군(一箱二群),1상2군,한지붕두가족벌무리 : 두 벌무리가 존재하는 벌통. 벌통의 가운데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여왕벌은 물론 일벌도 상호 왕래할 수 없게 하며 소문도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洋蜂)

일상이왕(一箱二王),1상2왕,쌍왕군(雙王群),일군이왕,1군2왕,한가족두왕벌무리 : 하나의 벌무리여왕벌이 두 마리 존재하는 벌통 (洋蜂)

자극먹이(刺戟--) : 산란육아를 촉진할 목적으로 조금씩 주는 먹이

자극사양(刺戟飼糧),장려사양(奬勵飼糧) : 일벌여왕벌산란육아를 활발히 하도록 자극하기 위해 당액을 조금씩 주는 것으로서 식량 보충의 목적이 아니다

자동사양기(自動飼糧器) : 벌통 안에 설치하여 벌에게 액체(물,당액)를 공급하는 그릇인데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유입구를 자동으로 여닫는 기능이 있으므로 벌들이 먹는 양만큼만 보충되고 흘러넘치지 않는다. 광식사양기에 넣어서 고정하는 형식과 벌집틀 위에 올려두는 형식 그리고 벌통 내외부에 거쳐서 설치하는 형식 등이 있다. 자동사양기에 가는 호스를 연결하여 벌통 밖으로 빼내어 더 큰 호스에 연결하며 최종적으로 집수통(물통,당액통)과 연결된다. 집수통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두면 집수통에 액체가 남아 있는 한 계속해서 벌통의 자동사양기에 공급된다. 보통은 수동으로만 여닫을 수 있는 밸브를 사용하지만 설정한 시각이나 환경일 때 자동으로 여닫도록 장치할 수도 있다. 집수통에서 벌통까지 액체가 원활하게 흘러가려면 집수통을 높은 곳에 두어야 하는데 집수통에 연결된 자동사양기가 많을수록 그리고 액체의 점성이 높을수록 집수통을 더 높은 곳에 두어야 한다. 자동사양기의 장점은 사양할 때 일일이 벌통을 열 필요가 없다는 것이고 단점은 막혀서 공급되지 않는 벌통을 모르고 지나칠 수도 있고 벌통 위치에 따라 압력이 달라 공급되는 속도와 양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사양기 (洋蜂)

자동채밀기 : 채밀기(採蜜器) 참고

자란벌,성봉(成蜂),성충벌(成蟲-) : 벌새끼의 상대어이며 새끼벌을 포함한 개념이다. 벌방에서 알~번데기를 거쳐 완전한 벌이 되어 벌방 밖으로 나와 활동하는 벌을 뜻한다, 성봉은 어린벌(새끼벌), 젊은벌, 늙은벌로 구분하거나 일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리바꾸기,통바꾸기 : 유밀기에 활발히 활동하는 시간에 세력 차이가 많이 나는 두 봉군의 자리를 맞바꾸어주면 밖일 나갔다 돌아오는 벌이 원래자리에 있는 다른 벌통으로 들어가게 된다. 목표하는 벌수가 맞춰지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벌통을 원위치시킨다. 밖일을 하는 벌수는 세력이 강한 봉군이 약한 봉군에 비해 많으므로 약한 통에 벌이 더해지게 되어 약한 봉군은 세력이 보강되고 강한 봉군은 세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른 벌통으로 들어가는 벌은 공격당하는 게 보통이지만 꿀이나 꽃가루 등을 가지고 들어가는 벌은 공격당하지 않는다

자리벌 : 설벌 참고

자분봉(子分蜂) : 본분봉(本分蜂) 참고

자연분봉(自然分蜂) : 살림나기·세간나기·벌나기라고도 하며 벌무리 스스로 두 개 이상의 벌무리로 나누고 그 중 하나만 남고 나머지는 다른 살 곳을 찾아 나가는 것

자연왕대(自然王臺) : 분봉왕대(分蜂王臺) 참고

자연화분(自然花粉) : 대용화분과 구분을 위해 꽃가루화분 대신 사용하는 용어

작은벌집딱정벌레 : 2012년 현재 국내에서는 보고가 없으나 외국에서는 큰 피해를 주고 있다고 한다.

작은수벌 : 소형수벌 참고

잡화꿀 : 야생화꿀 참고

잡화분(雜花粉) : 유채화분(油菜花粉) 참고

-장,-판 : 꿀장,꽃가루장,알장,애벌레장,번데기장과 같이 벌집과 관련이 있는 경우 판=장 (洋蜂)

장려사양(奬勵飼糧) : 자극사양(刺戟飼糧) 참고

장수(將帥) : 여왕벌의 별칭. 지방에 따라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장수말벌,왕탱이 : 몸길이가 35밀리 내외이며 벌들을 닥치는대로 물어죽이고 벌통 안에까지 침입하여 벌무리를 전멸시킬 수 있다. 단백질원인 꿀벌과 꿀벌새끼를 잡아다 말벌새끼의 먹이로 준다. 장수말벌은 주로 땅속에 집을 지으며 나무구멍에 집을 짓는 경우에는 흙이나 부스러기들이 쌓인 곳 속에 짓는다. 참고:털보말벌, 등검은말벌

재분봉(再分蜂),제2기분봉(第二期分蜂) : 그해 이미 분봉본통이나 분봉나온 봉군에서 다시 하는 일련의 분봉들. 재분봉에는 손분봉그루벌이 있다. 비교:본분봉, 참고:분봉차수

저밀(貯蜜) : 꿀을 저장. 또는 저장된 꿀

저밀방(貯蜜房) : 꿀방 참고

저밀소비(貯蜜巢脾) : 꿀판 참고

전고계상(全高繼箱),온고계상 : 일반 벌집틀을 넣을 수 있는 덧통. 참고:반고계상 (洋蜂)

전기가온(電氣加溫) : 추운 시기에 산란육아 환경을 좋게 하기 위해 전열선이나 전열판 등을 사용하여 벌통에 열을 가하는 것

전면소초(全面巢礎) : 일반 소초벌집틀에 부착해보면 가로와 세로가 벌집틀 내부 보다 약간 작다. 전면소초는 벌집틀에 부착해보면 가로와 세로가 벌집틀 내부 크기와 같다. 벌방바닥 모양이 올록볼록 찍혀있는 것은 일반소초와 같다.

전사(轉飼) : 벌치는 장소를 옮김

전시(剪翅) : 짝짓기 완료된 여왕벌의 날개를 비대칭으로 약간 자름. 여왕벌의 날개를 비대칭으로 조금 잘라서 잘 날지 못하게 함으로써 분봉으로 많은 수의 일벌을 잃는 것을 막으려는 것인데 왕대에서 나온 처녀왕이 분봉하여 수 많은 일벌들과 함께 떠나버릴 수 있으므로 마냥 방치하면 안 된다. 여왕벌의 날개를 잘라놓아도 분봉을 시도하기는 하지만 멀리 날지 못하므로 도망가지 못하고 가까운 곳에 뭉쳐있거나 벌통으로 되돌아온다. 한편, 날개를 자를 때 여왕벌이 상할 수도 있고 아무리 조심한다고 해도 날개 잘린 자체로 부실한 여왕벌이 되거나 일벌들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다.

전용(前蛹),애번데기 : 벌새끼애벌레에서 번데기로 변해가는 단계다. 꿀벌산란 후 9일을 전후해서 벌방뚜껑이 덮이며 이후 일이일은 애벌레이고 그후 이삼일은 애번데기이고 그후 완전한 벌이 되기까지가 번데기다. 벌방의 뚜껑이 덮이기 전의 애벌레는 벌방바닥에 동그랗게 말고 있으며 뚜껑이 덮인 후의 애벌레·애번데기·번데기는 벌방벽에 기대어 몸을 펴고 있는다.

전화(轉化) : 벌꿀전화와 숙성(轉化 熟成) 참고

전화당(轉化糖) : 벌꿀전화와 숙성(轉化 熟成) 참고

절량(絶糧) : 양식이 떨어짐

정리채밀(整理採蜜) : 목표로 하는 꿀에 설탕물 등이 섞이지 않도록 목표로 하는 꿀이 들어오기 직전에 벌통에서 벌집을 꺼내 채밀기에 넣고 돌려서 저장된 설탕물 등을 모두 빼내고 빈 벌집은 다시 벌통에 넣어줌. (洋蜂)

정밀내검(精密內檢) : 간이내검으로는 확실하지 않을 경우 벌통을 뒤집거나 높이 들어올려 놓고 산란육아상태나 왕대 등을 자세히 관찰한다. 양봉소상의 경우에는 벌집틀을 일일이 들어내어 검사한다.

정태온도(靜態溫度) : 동태온도(動態溫度) 참고

제1기분봉(第一期分蜂) : 본분봉(本分蜂) 참고

제2기분봉(第二期分蜂) : 재분봉(再分蜂) 참고

제리틀 : 이충틀 참고

조소(造巢) : 벌집짓기 참고

종봉(種蜂) : 종자 벌무리 또는 처음으로 벌을 칠 때 마련하는 벌무리

종이테이프,물테이프 : 한 쪽 면에 물을 적셔서 붙일 수 있는 접착제 성분이 있는 종이 재질로 된 테이프

좌대(座臺) : 받침대 참고

주력군(主力群) : 대유밀기에 꿀을 많이 모을 수 있는 군세 등 만반의 준비가 된 벌무리 (洋蜂)

주령(週齡) : 주(週;7일) 단위의 나이

주저리,벌통우지,유지뱅이 : 볏짚을 엮어 속이 빈 원뿔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서 벌통에 씌워 지붕으로 사용한다

죽은벌,사봉(死蜂) : 죽은 벌

줄왕완 : 이십 개 정도의 인공왕완들이 플라스틱 막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인데 주로 로열제리 생산을 위해 사용한다.

중국가시응애,가시응애,tropilaelaps mite : 꿀벌벌새끼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어 막대한 피해를 주는 기생충이다. 꿀벌에 기생하는 응애들 중 체구가 작은 편에 속하고 움직이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알에서 성충까지 6~7일이 걸린다. 성봉의 체액을 빨아먹을 수 없어서 꿀벌의 육아벌방을 떠나면 10일 정도만 생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중국가시응애에는 다음과 같은 4종이 있다. Tropilaelaps clareae, Tropilaelaps koenigerum, Tropilaelaps mercedesae, Tropilaelaps thaii 참고: 바로아응애, 꿀벌기문응애

중낭병(中囊病) :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중봉(中蜂) : 중화밀봉(中華蜜蜂)의 약칭으로서 중국의 토종벌이며 동양종꿀벌(Apis Cerana)이다

중탱이 : 몸의 크기가 황말벌장수말벌 사이에 있는 꼬마장수말벌을 비롯한 다양한 말벌들을 뜻하는 사투리

증소(增巢) : 벌집더하기 참고

진드기 : 꿀벌응애 참고

짝짓기 : 여왕벌수벌이 교미

짝짓기벌무리,핵군(核群) : 짝짓기벌무리는 아직 교미하지 않은 처녀 여왕벌의 교미를 목적으로 일반 벌무리보다 상당히 작은 규모로 형성시킨 벌무리를 뜻한다. 핵군은 큰 벌무리에서 덜어내어 만든 규모가 작은 벌무리를 뜻한다. 즉, 핵군이 반드시 짝짓기벌무리일 필요는 없으며 짝짓기벌무리는 작은 규모로 편성하는 게 보통이므로 핵군에 속한다. 페키지벌을 안착시킨 벌무리 및 구왕을 몇 장의 벌붙은 벌집과 함께 분봉시킨 벌무리도 핵군에 속한다. (洋蜂)

짝짓기비행 : 결혼비행(結婚飛行) 참고

짝짓기통,교미상(交尾箱),핵군상(核群箱) : 짝짓기통(교미상)은 짝짓기벌무리 또는 짝짓기벌무리가 사는 벌통, 핵군상은 규모가 작은 벌무리 또는 핵군이 사는 벌통. 벌집수가 적거나 벌통이 작은 게 일반적이다 (洋蜂)

차기여왕벌 : 후계왕(後繼王) 참고

차기왕(次期王) : 후계왕(後繼王) 참고

착륙판(着陸板) : 나들판 참고

착봉(着蜂) : 벌붙이기 참고

착봉소비(着蜂巢脾) : 벌붙은판 참고

착봉판(着蜂板) : 벌붙은판 참고

참벌 : 토종벌(土種-) 참고

창고월동(倉庫越冬) : 월동창고에서 월동

채밀(採蜜) : 꿀뜨기 참고

채밀기(採蜜器),방사채밀기(放射採蜜器),수동채밀기,자동채밀기 : 벌집에 든 꿀을 빼내는 기기. 저밀소비꿀방 뚜껑을 제거한 후 채밀기에 넣고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꿀을 빼내는 게 보통이다. 채밀기는 저밀소비의 배치형태와 소비고정틀의 고정 여부에 따라 방사형,고정식,반전식으로 나뉜다. 방사형채밀기는 통 중앙에 회전축이 있고 그 축을 빙둘러서 저밀소비를 고정할 수 있는 소비고정틀들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저밀소비를 넣었을 때 소비의 윗대아랫대를 잇는 직선이 통의 중앙 축을 통과하게 된다. 저밀소비를 넣었을 때 소비의 면이 통의 중앙 회전축을 바라보게 되는 고정식채밀기는 지름이 방사형채밀기에 비해 적어도 되며 소규모 취미양봉가용이다. 고정식채밀기는 한 쪽 면의 꿀을 다 빼낸 후 저밀소비를 수작업으로 뒤집어주어야 반대쪽 면의 꿀을 빼낼 수 있다. 반전식채밀기는 중앙에 축이 없으며 마치 세탁기나 탈수기처럼 통속에 회전하는 통이 들어 있고 그 통 안벽에 저밀소비를 고정할 수 있는 소비고정틀들이 있는데 회전방향을 바꾸면 그 틀들이 반전되어(반대쪽으로 누어) 반대쪽 면의 꿀을 빼낼 수 있다. 고정식채밀기와 반전식채밀기는 회전할 때 저밀소비의 면이 통의 중앙을 바라보는데 반해 방사형채밀기는 윗대나 아랫대가 통의 중앙을 바라본다. 방사형채밀기는 회전방향의 반대쪽 면의 꿀이 빠지며 반전식채밀기와 고정식채밀기는 바깥쪽 면 즉 채밀기 통의 벽쪽을 바라보는 면의 꿀이 빠진다. 채밀기는 동력원에 따라, 인력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채밀기와 모터로 회전시키는 자동채밀기로 나뉜다. 고정식채밀기는 수동채밀기로 생산되는 게 보통이고 반전식채밀기는 자동채밀기로 생산되는 게 보통이다. 자동채밀기는 전업양봉가들이 사용하는 게 보통이다. 국외 자료를 보면 공장에서 대규모로 하는 경우 저밀소비의 꿀방뚜껑을 제거하는 기계도 있고 저밀소비를 가득 담은 벌통을 통째로 넣고 꿀을 뜨는 기계도 있다. (洋蜂)

채밀자격군(採蜜資格群) : 자신들의 먹이 외에 상당량의 여분의 꿀을 모을 능력이 있는 벌무리

채분기(採粉器) : 화분채집기(花粉採集器) 참고

채유(採乳) : 왕젖뜨기 참고

채유광(採乳框) : 이충틀 참고

채유술(採乳-) : 왕대로열제리를 떠내는 데 사용하는 수저

처녀여왕벌 : 처녀왕(處女王) 참고

처녀왕(處女王),처녀여왕벌 : 아직 교미를 마치지 않은 여왕벌

첫배,맏배 : 각 벌무리에서 분봉나온 첫번째 분봉군

첫속살피기,초검(初檢) : 겨울나기 후 처음으로 벌수·먹이량·여왕벌·군세·병해충·벌새끼기르기·보온상태 등 벌무리의 상태를 살피는 것. 첫속살피기 때 청소·벌집줄이기·먹이주기·벌합하기 등 속살피기 결과에 상응한 조치를 취하는 게 보통이다

청(淸) : 벌꿀 참고

청개다리 : 세장 참고

초검(初檢) : 첫속살피기 참고

축소(縮巢;縮小) : 벌집줄이기 참고

춘감현상(春減現象) : 새 일벌과 작년 일벌의 세대교체 기간인 주로 3월에 일시적으로 벌수가 줄어드는 현상인데 관리를 잘못하면 그 정도가 심각해진다.

출방(出房) : 벌방·왕대에서 뚜껑을 열고 나옴. 변태를 마치고 꿀벌이 되어 벌방에서 나오는 것으로서 태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엄밀히 말하면 '태어난다'고 할 수 없으나 편의상 '태어난다'고 말할 수도 있겠음. 우화와 출방은 동일한 개념이 아니지만 우화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측잔(側棧) : 옆대 참고

칸막이 : 가름판은 아래와 옆으로 벌들이 왕래할 수 있지만 칸막이는 틈새 없이 벌통에 완전히 밀착이 되어 벌들이 왕래할 수 없다. 한 통에 두 개 이상의 벌무리수용할 때 각 벌무리 사이를 완전히 막아 나누는 데 사용한다. 벌통에는 나들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잘라낸 판자의 두께만큼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은 칸막이로도 막히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洋蜂)

콩깻묵 : 탈지대두박(脫脂大豆粕) 참고

탈바꿈 : 변태(變態) 참고

탈봉(脫蜂) : 벌떨기 참고

탈봉기 : 벌떨기 참고

탈봉장치 : 벌떨기 참고

탈봉판 : 벌떨기 참고

탈분(脫糞) : 배설

탈지대두박(脫脂大豆粕),콩깻묵,탈지대두분말(大豆粉末),분리대두단백(分離大頭蛋白) : 탈지대두박은 콩에서 기름을 짜내고 남은 콩깻묵. 탈지대두분말은 탈지대두박을 가루로 만든 것. 분리대두단백은 탈지대두박에서 단백질 이외의 성분을 제거하여 단백질 함량을 90% 정도로 높인 것.

탈지대두분말(大豆粉末) : 탈지대두박(脫脂大豆粕) 참고

태커 : tacker. ㄷ 모양의 쇠침을 박는 기구. 스테이플러인데 박은 침이 반대쪽으로 관통해 나오지 않을 곳에 사용한다. 문구로 사용하는 스테이플러는 반대쪽으로 관통해 나온 침이 납작하게 구부러지지만 태커에는 그러한 기능이 없다. '타카'는 잘못된 표현

털보말벌 : 대추벌 참고

토봉(土蜂) : 토종벌(土種-) 참고

토봉개량소상 : 양봉소상식토봉소상(洋蜂巢箱式土蜂巢箱) 참고

토종꿀 : 토종벌이 대한민국 영토 안에서 생산한 벌꿀로서 법에서 정한 벌꿀의 정의에 부합하는 벌꿀. 단기채밀한 벌꿀은 토종꿀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토종꿀벌 : 토종벌(土種-) 참고

토종밀봉(土種蜜蜂) : 토종벌(土種-) 참고

토종벌(土種-),토봉(土蜂),한봉(韓蜂),참벌,토종꿀벌,토종밀봉(土種蜜蜂),한국밀봉(韓國蜜蜂) : Eastern honey bee : 토종벌은 토종꿀벌의 약칭이고 토봉은 토종밀봉의 약칭이며 한봉은 한국밀봉의 약칭이다. 개인적으로는 국내에서만 통용되는 이름인 '토종벌' 보다는 국제적으로 통용이 가능한 이름인 '한봉'이 낫지 않나 생각한다; 동양종꿀벌(Apis Cerana)의 아종으로서 한반도와 부속도서에 토착해서 살고 있는 꿀벌이다. 토종벌을 개량하여 서양종꿀벌이 된 것이 아니므로 상호상대적인 개념에서 토종벌을 재래꿀벌(재래종)이라 하거나 서양종꿀벌을 개량종꿀벌이라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토종벌과 양봉은 염색체 2배체가 32개로 동일하지만 교잡종을 만들 수 없다. 유전공학이 발전한 만큼 실험실 차원에서 특별한 조작을 하면 교잡종을 만들 수는 있을 것이나 염색체 수준이나 유전자 수준의 조작이 없는 한 교잡종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Chinese Sacbrood,Thai Sacbrood : 극동아시아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토종벌에 일으키는 질병으로서 중국낭충봉아부패병, 태국낭충부패병으로도 부른다.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은 RNA 바이러스 감염으로 애벌레애번데기가 물이 든 자루 모양을 하고 죽어 썩는 병이다. 알에서 부화된 애벌레는 번데기가 되기까지 허물을 다섯번 벗어야 하는데 감염된 애벌레와 애번데기는 허물을 벗지 못하고 체액이 피부 안쪽에 가득 차서 죽게 된다. 죽은 애벌레와 애번데기는 유백색에서 연한 노란색을 띄다가 머리부터 차츰 어두운 색으로 변하며 최종적으로는 다갈색으로 마른다. 벌방에서 제거되지 않은 사체는 등을 벌방벽에 기대고 납작해져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부저병에서와는 달리 벌방에 방치된 사체가 곤죽이 되지는 않는다. 중증이 되기 전에는 일벌들이 봉아 사체를 멀리 내다버리기 때문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사체청소를 열심히 하지만 시일이 지나 병이 깊어지고 일벌수도 차츰 줄어서 벌방속에 방치되는 사체가 늘고 뚜껑 덮인 벌방이 거의 없어지며 봉아가 있어야 할 영역에 꿀이 들어있는 비율이 높아진다. 이렇듯 벌새끼가 대부분 죽어버리므로 대가 끊겨서 벌무리가 망하고 만다. 눈에 잘 띄는 증상으로는 벌통 안과 밖에 죽은 애벌레와 애번데기가 많이 떨어져 있고 이를 내다버리는 일벌들도 목격된다. 감염된 벌통은 작은 스트레스에도 쉽게 도망간다. 전염경로는 감염된 봉아, 벌, 벌집, 꿀, 꽃가루, 도봉, 벌쏠림, 벌기구, 사람 등 바이러스를 묻혀 옮길 수 있는 모든 것이며 벌들의 정상적인 활동에서는 꽃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보인다. 발병시기는 산란육아가 진행중이고 꽃이 피어있고 벌들이 밖일을 나갈 수 있는 시기면 언제든 가능하고 유밀기에 더 기승을 부린다. 낭충봉아부패병 유럽형과는 달리 유밀기에 자연치유도 되지 않는다. 피해 정도는 토종벌에서는 전멸이다. 2010년 9월 현재 제대로 된 치료법은 없다. 낭충봉아부패병 유럽형에서 처럼 산란육아권을 잘라내버림으로써 산란육아주기를 깨고 약물투여와 소독을 병행하는 방법만으로는 치유되지 않는다. 중국에서는 1970년대 광동성에서 시작해서 몇 년 안에 전국으로 퍼져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에 강원도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고 2010년 9월 현재 전국으로 퍼졌으며 피해 정도는 95% 이상의 토종벌이 망한 것으로 보인다. 이 병이 온 마을은 두 달 정도면 모든 토종벌이 망하고 만다. 조치로는 감염된 지역 왕래를 막고 초기에 감염된 마을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모든 토종벌을 살처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굳이 한글로 이름을 지어보면, 부저병의 한글 이름(아마도 꿀벌애벌레썩음병 또는 꿀벌새끼썩음병)과의 구분을 위해서 물자루를 넣어 토종벌새끼물자루썩음병일 것이다. 이 질병으로는 번데기가 죽지는 않는다는 점과 애번데기의 모습이 애벌레와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토종벌애벌레물자루썩음병으로 할 수도 있겠다.
참고문헌1(Sacbrood)     참고문헌2(Sacbrood-PCR)     참고문헌3(TSBV)     참고문헌4(CSBV)

토종벌보호구역 : 한봉보호구역 참고

토종벌통 : 토종벌을 치는 데 사용하는 벌통이며 다단사각벌통,통나무벌통,굴피벌통,랑식벌통(양봉소상식토봉소상) 등의 형식이 있다.

통갈이 : 벌통을 바꾸어줌. 벌통이 습기나 병해충 등으로 좋지 않을 때 새로운 통으로 벌집과 벌을 옮기는 게 보통이고 벌만 옮기는 경우도 있다. 새로운 환경 조성이나 텃새를 없애기 위해 통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통걸기,통달기 : 통나무벌통이나 됫박식벌통의 아래에 빈 벌통을 추가해주는 것. 증소

통기(通氣) : 공기가 통함

통나무벌통,환태식벌통(換台式--),환태형벌통 : 통나무를 적당한 길이로 자른 후 속을 파내어 만든 벌통. 용도에 따라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겠으나 보통은 높이 약 70㎝, 내부 지름 약 23㎝, 두께 약 5㎝이다

통높임 : 가상(假箱) 참고

통달기 : 통걸기 참고

통바꾸기 : 자리바꾸기 참고

통수(通水) : 물이 통함

통풍(通風) : 바람이 통함

파운드벌,pound bee : 패키지벌인데 포함된 벌의 무게가 파운드 단위라는 데서 유래한 용어다. 1파운드는 453그램이고 그 무게면 서양종꿀벌 3500 마리 내외에 해당하며 벌집 1매에 강하게 붙일 수 있는 정도다 (洋蜂)

-판 : -장 참고

판돌 : 받침돌 참고

패키지벌,package bee : 우편·택배 등을 통해 거래할 목적으로 벌집 없이 적은 양의 먹이와 함께 여왕벌을 포함한 벌들을 작은 상자 등에 넣은 벌무리. 여왕벌은 왕가두개에 가두어두는 게 보통이다 (洋蜂)

페트병,PET병 : PolyEthylen Terephthalate를 원료로 하여 만든 병

평면격왕판 : 왕막음판 참고

평면사양기 : 윗사양기 참고

폭밀(瀑蜜) : 꿀이 매우 많이 남

표류(漂流) : 벌쏠림 참고

풍밀(豊蜜) : 꿀을 풍성하게 수확

프로폴리스,봉교(蜂膠) : 식물이 분비하는 수지와 같은 물질로서 병해충을 예방하기 위해 벌들이 수집해와 벌통 안벽 등에 바른다.

프로폴리스망,봉교망(蜂膠網) : 벌들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촘촘한 망을 벌집틀 위에 덮어두면 벌들이 프로폴리스를 싸바르는데 이를 들어내어 채취한다. (洋蜂)

하단칸(下段-) : 층층이 쌓인 벌통칸들 중 가장 아래에 있는 벌통칸

하이브툴 : 끌개 참고

하잔(下棧) : 아랫대 참고

한가족두왕벌무리 : 일상이왕(一箱二王) 참고

한국밀봉(韓國蜜蜂) : 토종벌(土種-) 참고

한봉(韓蜂) : 토종벌(土種-) 참고

한봉보호구역,토종벌보호구역 : 축산법 제8조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이 토종벌을 보호하기 위해 정한 구역으로서 그 안에서는 양봉(洋蜂)을 기를 수 없다

한지붕두가족벌무리 : 일상이군(一箱二群) 참고

합동계상(合同繼箱) : 합봉계상(合蜂繼箱) 참고

합봉(合蜂) : 벌합하기 참고

합봉계상(合蜂繼箱),합동계상(合同繼箱) : 본격적인 유밀기가 임박했음에도 단독으로는 덧통을 올릴 수 없는 벌무리들이 있는 경우 그러한 두 개 이상의 벌무리로 덧통 하나를 올림 (洋蜂)

합봉망(合蜂網) : 덧통을 이용하여 벌무리를 합할 때 층간에 설치하는 망으로서 여왕벌은 물론 일벌도 서로 왕래하지 못할 크기의 구멍을 가진 모기장이나 프로폴리스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덧통으로 벌무리를 합할 때 벌무리 간의 싸움을 막고 서로 친근해지게 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두 벌무리가 충분히 친근해졌으면 합봉망을 제거한다.

합봉판(合蜂板) : 수직격왕판처럼 벌통에 완전히 밀착해서 끼워넣어 양쪽의 벌무리가 서로 왕래하지 못하게 하되 냄새는 서로 충분히 섞일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인데 테두리를 제외한 안쪽 전체가 모기장 등으로 되어있다. 즉, 수직격왕판처럼 생겼는데 여왕벌은 물론 일벌들도 왕래하지 못할 정도의 수많은 구멍들을 가진 것이다. 홑통에서 벌무리를 합할 때 벌무리 간의 싸움을 막고 서로 친근해지게 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두 벌무리가 충분히 친근해졌으면 합봉판을 제거한다.

핵군(核群) : 짝짓기벌무리 참고

핵군상(核群箱) : 짝짓기통 참고

햇왕 : 신왕(新王) 참고

헛계상 : 헛덧통 참고

헛덧통,헛계상 : 덧통 활용 방식 중 하나인데 덧통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것을 뜻한다. 덧통을 올리기에는 기온·세력 등이 충분하지 않으나 그대로 두면 분봉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 또는 무더운 여름에 벌들이 필요에 따라 분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역할을 한다. (洋蜂)

헛왕대,헛왕집 : 그 속에서 여왕벌을 키워내지 않고 있고 앞으로도 그러할 운명인 왕대

헛왕집 : 헛왕대 참고

헛집,덧집 : 벌집틀 밖에 지은 벌집인데 들여오거나 공급되는 먹이가 많은데 반해 벌집 지을 공간이 부족할 때 벌집틀의 위·아래, 가장자리 격리판, 개포 등에 짓는 게 보통이다 (洋蜂)

헛집방지받침대,덧집방지받침대,헛집방지판 : 가상을 설치하면 벌통바닥으로부터 벌집틀 아랫대까지의 거리가 멀어진 만큼 아랫대에 헛집을 지어내리는데 이를 방지하고 벌들이 분산할 수 있도록 벌통바닥에 까는 것으로서 내려다 볼 때 평면 모양이 벌통에 벌집틀을 가득 넣어두었을 때 평면 모양과 비슷하다. 높이는 가상의 높이에 따라 조절해야 하는데 벌집틀 아랫대까지의 거리를 가상 설치 전의 거리와 별로 다르지 않게 맞추어야 한다 (洋蜂)

헛집방지판 : 헛집방지받침대 참고

혹서기(酷暑期) : 매우 더운 시기

혼인비행(婚姻飛行) : 결혼비행(結婚飛行) 참고

홑통,단상(單箱),단상벌통 : 한 칸만 있는 벌통. 양봉소상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벌통을 말하는데 계상벌통에는 밑판나들문이 없는 반면 홑통에는 밑판과 나들문이 있다 (洋蜂)

화밀(花蜜) : 꽃꿀 참고

화분(花粉) : 꽃가루 참고

화분단(花粉團) : 꽃가루뭉치 참고

화분떡 : 꽃가루떡 참고

화분매개(花粉媒介) : 꽃가루받이 참고

화분빵 : 꽃가루빵 참고

화분소비(花粉巢脾) : 꽃가루판 참고

화분채집기(花粉採集器),채분기(採粉器) : 나들문을 통해 들어가는 벌에게서 화분을 채집할 목적으로 나들문 앞에 이어서 설치하는 기구. 벌이 벌통속으로 들어가려면 이 기구의 작은 구멍을 통과해야 하는데 구멍이 작아서 뒷다리에 붙은 화분덩어리가 떨어진다

화분판(花粉板) : 꽃가루판 참고

화용(化蛹) : 용화(蛹化) 참고

화청(火淸) : 가열한 벌꿀. 벌꿀이 저온에서 굳는 것과 고온에서 끓어넘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벌꿀을 가열하는 경우도 있는데 고온으로 가열하면 벌꿀에 포함된 당분·비타민 등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가열하지 않고 내린 꿀을 가열하는 이도 있고 처음부터 가열하여 꿀을 내리는 이도 있다. 꿀을 내린 후 남은 벌집찌꺼기에 열을 가해 나온 것은 꿀이 아니며 화청이라고도 하지 않는다.

환기(換氣) :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해 안의 공기를 내보내면서 밖의 공기를 들임

환기구(換氣口) : 환기통(換氣桶) 참고

환기구멍 : 환기창(換氣窓) 참고

환기창(換氣窓),환기구멍 : 벌통환기를 위해 벌통,뚜껑,받침대 등에 낸 창 또는 구멍

환기통(換氣桶),환기구(換氣口),환풍구(換風口) : 벌통환기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통에 구멍을 뚫거나 벌통벽을 없애고 그 곳을 망으로 막아서 만든다

환태식벌통(換台式--) : 통나무벌통 참고

환태형벌통 : 통나무벌통 참고

환풍구(換風口) : 환기통(換氣桶) 참고

황말벌 : 대추벌 참고

회기(回基) : 원래 자리로 돌아감. 기존 활동 범위 내의 다른 자리로 벌무리를 옮기면 밖일벌 중 일부가 원래 자리로 돌아가는 성향이 있다

후계여왕벌 : 후계왕(後繼王) 참고

후계왕(後繼王),후계여왕벌,차기왕(次期王),차기여왕벌 : 특히 분봉과 관련하여 현재 여왕벌이 분봉을 나가게 되면 남아서 벌무리를 장악하게 될 여왕벌을 말한다

훈연(燻煙) : 연기뿜기 참고

훈연기(燻煙器) : 연기풍개 참고

흉밀(凶蜜) : 꿀생산량이 아주 적거나 없음

희생군(犧牲群) : 꿀을 많이 모으도록 하기 위해 군세가 강한 벌무리에 군세가 약한 벌무리의 일벌들을 추가해주기도 하는데 이 때 다른 벌무리에 일벌을 주는 벌무리를 뜻한다.

Acarapis : 꿀벌기문응애 참고

American foulbrood(AFB) : 미국부저병(美國腐蛆病) 참고

Apis cerana : 동양종꿀벌(東洋種--) 참고

Apis mellifera : 서양종꿀벌(西洋種--) 참고

chalkbrood : 백묵병(白墨病) 참고

Chinese Sacbrood :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참고

European foulbrood(EFB) : 유럽부저병(--腐蛆病) 참고

Feral bee : 야생벌통(野生-桶) 참고

foulbrood : 부저병(腐蛆病) 참고

package bee : 패키지벌 참고

PET병 : 페트병 참고

pound bee : 파운드벌 참고

sacbrood : 낭충봉아부패병 유럽형 참고

stonebrood : 석고병(石膏病) 참고

Thai Sacbrood :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참고

tracheal mite : 꿀벌기문응애 참고

tropilaelaps mite : 중국가시응애 참고

varroa mite : 바로아응애 참고

출처 : 꿀벌사랑동호회
글쓴이 : 공존 원글보기
메모 :

벌치기 쓰임말  (양봉용어)



'Hobby > Beekeep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왕벌 키우기.  (0) 2014.10.26
부저병.  (0) 2013.11.15
바람나기 좋은 날  (0) 2013.11.01
[스크랩] 봄철의 양봉관리  (0) 2013.11.01
life cycle  (0) 2013.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