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Topic/News & Map

예멘 내전 ; 살레 전 예멘 대통령, 후티 반군에 피살

by 뉴질랜드고구마 2017. 12. 5.

예멘 내전 ;

살레 전 예멘 대통령, 후티 반군에 피살





(카이로=연합뉴스) 한상용 특파원 = 알리 압둘라 살레 전 예멘 대통령이 후티 반군에 살해당했다고 중동 언론이 4(현지시간) 일제히 보도했다아랍권 위성방송 알자지라와 알아라비야 방송 등에 따르면 후티 반군은 이날 자신이 통제하는 알마시라TV와 예멘 라디오를 통해 살레 전 대통령을 지칭하며 "반역자들의 우두머리가 죽었다"고 밝혔다.

 

후티 반군은 또 "살레가 이끄는 다수의 범죄 지지자들도 사망했다"고 전했다. 후티 대원들은 "예멘 수도 사나 중심부에 있는 살레의 자택을 폭파했다"고 주장했다예멘의 한 소식통은 알마야단TV"살레가 오늘 오전 사나를 떠나려고 시도하던 중 살해됐다"고 말했다국제적으로 인정을 받는 예멘 정부의 한 고위급 간부와 살레의 친척, 살레측 인사도 이날 살레의 사망 사실을 확인했다이날 살레로 추정되는 시신이 찍힌 영상도 소셜미디어에 올라왔다. 그 시신 주변의 무장 대원들이 "신은 위대하다"를 외치는 장면도 영상에 나온다.

 

이번 피살은 살레를 추종하는 무장대원들이 사나에서 엿새 동안 후티 반군과 치열한 교전 끝에 수세에 몰리며 큰 손실을 본 다음에 나온 것이다국제적십자위원회(ICRC)"지난 5일간 사나 전투로 최소 125명이 죽고 238명이 다쳤다"고 이날 전했다.

 

2011'아랍의 봄' 여파에 따른 반정부 운동으로 2012년 대통령직에서 쫓겨난 살레는 후티 반군과 함께 연대해 2014년 이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만수르 하디 예멘 대통령에 반대하는 활동을 해 왔다살레를 추종하는 세력은 또 반군 후티의 편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는 예멘 정부와 맞서면서 권좌 복귀를 노려 왔다그러나 살레를 지지하는 무장 대원들이 최근 후티 반군과 갈라선 뒤 사나에서는 양측간 전투가 계속돼 왔다.

 

살레는 지난 2일 사우디 주도의 동맹군이 예멘 봉쇄를 풀고 공격을 중단한다면 휴전 중재에 나서겠다고 말하기도 했다사우디는 즉각 이 제안을 환영했으나 후티 반군은 그를 비난하며 이를 거부했다.

 

예멘에서는 30여 년간 철권통치를 하던 살레 정권이 20122월 실각한 뒤 민주적 정권 이양 절차가 진행되는 듯 했다그러나 높은 실업률과 정부의 연료비 인상으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에 힘입어 이란에 우호적인 시아파 반군 후티가 20149월 수도 사나를 점령하고 예멘 정부를 축출하면서 혼란에 빠졌다이에 위협을 느낀 사우디아라비아가 아랍권 동맹군을 결성해 2015326일 군사 개입에 나서면서 예멘 내전은 본격화했다이 과정에서 이어진 아랍동맹군의 공습은 수많은 민간인을 숨지거나 다치게 했다.

 

지금까지 8600여명이 폭격과 교전 등으로 숨졌고, 5만명이 부상했다. 인구의 70%2천만명은 장기간 지속한 내전과 콜레라 등으로 끼니를 제대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다


뉴스출처 : http://v.media.daum.net/v/20171204223444320


... ...


어떤 민족이든 나라든지간에 스스로 힘을 갖지 못하면 휘둘리게 마련이다.

그 속에서 이유도 모르고 죽어가는 사람들...



다른 뉴스 기사 

.... ...


사우디-이란 대리전 '예멘의 비극'


유엔 구호단체가 최근 내전이 격화된 예멘에서 철수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유엔이 수도 사나의 유엔 구호대원 약 140명에게 철수령을 내렸다고 3일 전했다. 그러나 공항 인근에서 교전이 이어져 이들을 태울 비행기는 인근 지부티에서 대기 중이다.

유엔마저 손을 떼면 예멘의 인도주의 위기는 더더욱 걷잡을 수 없이 번지게 된다. 내전이 격화된 지난 2년 반 동안 예멘에선 1만여 명이 폭격과 교전 등 폭력 행위로 숨졌고, 올해 4월부터 창궐한 콜레라에 90만 명이 감염됐다. 인구의 70%2000만 명에게 긴급 식량 지원이 필요하고 700만 명이 당장 아사 위기에 몰렸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3일 성명을 발표해 예멘 국민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큰 인도주의적 위기에 휘말려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시리아와 이라크 등에 밀려 가려져 있던 예멘이 세계의 이슈 메이커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이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대리전으로 변질된 이 내전이 끝날 희망도 보이지 않는다.

 

아라비아반도 남부의 예멘은 2세기 그리스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축복받은 아라비아라고 칭송할 정도로 전략적 요지에 자리 잡고 있다. 원시림과 사막이 공존하는 자연 환경이 다채롭고, 인도양과 홍해를 끼고 있어 무역이 발달할 조건도 두루 갖추었다. 하지만 2800만 명의 인구가 수니파(56%)와 시아파(44%)로 나뉜 것이 불행의 결정적 씨앗이었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지 자기 종파를 등에 업고 상대 종파를 억누르는 정책을 폈고 쿠데타가 끊이지 않았다.

 

최근 이어진 내전으로 예멘은 이란의 지원을 받는 시아파 무장조직 후티장악 지역, 사우디 주도의 수니파 동맹군 장악 지역, 급진 수니파 과격단체 알카에다 추종세력 장악 지역으로 삼등분됐다.

 

하지만 어느 한쪽도 결정적 우위는 점하지 못했다. 내전이 정규전 양상이 아닌, 적과 시민을 구분하기 어려운 게릴라전이 됐기 때문이다.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이스라엘이 비정규 무장조직 헤즈볼라에 고전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지역의 맹주 사우디가 지난 3년 동안 수없이 공습을 감행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민간인을 학살한다는 비난뿐이었다. 사우디는 고육지책으로 후티가 점령한 지역을 봉쇄해 고사시키려 하고 있지만 민간인 피해는 더욱 급증하고 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최신호는 예멘은 어떻게 지구상에서 가장 비참한 곳이 되었나라는 기사를 통해 압도적인 세력이 나타나지 않는 한 예멘 국민의 불행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멘 내전에는 비단 사우디와 이란의 입김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사우디 뒤엔 다시 미국과 영국 등 서방 강대국이 있고, 이란 뒤에는 러시아가 있다. 강대국들은 사우디와 후티 반군에 무기를 파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5월 사우디를 방문해 후티 반군 소탕 작전에 지지를 보내고 1102억 달러(120조 원)어치의 무기를 팔았다. 유럽은 2016년 사우디에 대한 무기 판매를 무제한 허용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예멘 내전은 사우디에 대한 미사일, 폭탄 판매를 대폭 늘린 영국의 방위 산업에 내린 축복이라고 비꼬았다.

 

이코노미스트는 예멘 국민들은 누가 이기든 관심이 없고, 단지 전쟁이 끝나기만 원한다며 예멘이 제2의 소말리아나 아프가니스탄이 되면 종국적 피해는 강대국에 돌아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BBC 등은 알리 압둘라 살레 전 예멘 대통령이 후티 반군에 살해당했다고 4일 전했다. 살레는 2011아랍의 봄으로 반정부 시위가 거세지자 20122월 대통령직에서 쫓겨났다. 살레 추종 세력은 후티 반군과 함께 현 예멘 정부와 맞섰지만, 최근 후티 반군과 갈라섰다.


뉴스 출처 : http://v.media.daum.net/v/20171205030134813